이달의 독립운동가

독립군 부부에서
광복군 가족으로
오광선, 정현숙

독립군 부부에서<BR />광복군 가족으로<BR />오광선, 정현숙

글 독립기념관 전시부


독립군 부부에서 

광복군 가족으로

오광선, 정현숙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및 광복회와 공동으로 오광선, 정현숙 부부를 2020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오광선과 정현숙은 독립군 부부로, 이들 가족은 3대가 독립운동에 투신한 보기 드문 독립운동가 집안이었다. 아버지 오인수(1868~1935) 의병장을 이어 오광선과 그의 아내 정현숙은 중국으로 망명해 독립군 활동에 헌신하였고, 만주에서 태어난 그들의 두 딸 오희영(1925~1969, 1990년 애족장), 오희옥(1927~, 1990년 애족장)과 사위 신송식(1914~1973, 1963년 독립장) 역시 광복군 등에서 활동하며 조국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alt

오광선(吳光鮮)

1896.05.14.~1967.05.03.

경기도 용인

건국훈장 독립장(1962)

alt

정현숙(鄭賢淑)

1900.03.13.~1992.08.01.

경기도 용인

건국훈장 애족장(1995)


무장투쟁의 한길을 걸어온 독립군 오광선

오광선은 1896년 경기도 용인 원삼면에서 태어났으며, 1913년 이웃 마을 출신 정현숙과 결혼했다. 의병장이었던 부친의 영향으로 일찌감치 독립운동에 뜻을 품은 그는 1915년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이때 본명인 성묵(性?) 대신 ‘조선의 광복을 되찾겠다’라는 뜻의 광선(光鮮)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신흥무관학교에 입학, 1918년 졸업 후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독립군 양성에 매진했다. 

1920년대 초 대한독립군단 중대장으로 활동하던 중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이르쿠츠크 군형무소에 수감되어 혹한의 고통을 겪은 후 가까스로 탈출했다. 1931년에는 한국독립군 중대장으로 임명되어 한중 연합의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전자령전투 등 각종 항일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관내로 이동하여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한인특별반에서 군관양성활동을 펼쳤다. 1936년경에는 베이징으로 파견, 비밀공작 활동을 벌이던 중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2년간 옥고를 치렀으며, 광복 후에는 광복군 국내지대장 등을 맡았다. 정부는 이러한 공훈을 기리어 1962년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alt

하얼빈 소재 일본총영사관에서 작성한 대한독립군단 명부(1925)

alt

광복 이후 효창공원에서 광복군 동지들과 함께 찍은 사진. 

1열 우측이 오광선, 가운데가 지청천, 좌측은 사위 신송식(용인신문사 제공)



독립군을 키워낸 ‘만주의 어머니’ 정현숙 

정현숙은 1900년 경기도 용인 이동면에서 태어났다. 남편 오광선이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던 이듬해인 1919년 남편의 뒤를 이어 만주로 망명길을 떠났다. 고국에 남긴 가족들의 안전을 우려해 본명 정산(正山) 대신에 현숙(賢淑)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만주 땅에서 화전을 일구는 곤궁한 생활 속에서도 독립군들을 뒷바라지해 주었기에 ‘만주의 어머니’라는 별명을 얻었다. 

중일전쟁 발발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이 피난길에 오르자, 당시 일제에 체포된 남편 오광선을 대신해 3남매를 데리고 피난 생활에 합류했다. 이후 충칭 인근의 토교에 정착해 임시정부 요인 식구들과 함께 거주하며 임시정부 활동을 뒷바라지하였다. 이때 한국혁명여성동맹의 맹원이자 한국독립당의 당원으로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그 영향을 받은 두 딸 역시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하였다. 정부는 정현숙의 이러한 공훈을 기리어 1995년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alt

한국혁명여성동맹 창립 당시 정현숙의 모습(1940)


alt

차리석 회갑 기념사진에서 정현숙(4열)과 딸 오희옥(2열), 아들 오영걸(1열)의 모습(1941)


alt

국립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있는 오광선·정현숙 합장묘(오주영 제공)


a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