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의 발자취

영화 〈보드랍게〉, 감독 박문칠

독립의 발자취

글 편집실



소리 없이 끌려간 소녀와 소리 내어 비극을 외친 할머니. 단편적인 두 가지 모습에 가려져 외면당한 역사가 있다. 전시 성폭력 피해자에서 전후 성매매 대상자로, 그리고 기지촌 생활까지 이어진 故 김순악 선생의 삶이다. 행여 누가 볼까 웅크리기 바빴던 그의 어두운 시간에 조명을 비춘 이가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보드랍게〉감독 박문칠이다.


alt

박문칠 영화감독


Q. 영화 〈보드랍게〉는 어떤 질문으로 출발하였나요?

그동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다룬 영화들은 주로 위안소 피해 사실을 밝힌 이후 투사가 된 모습에만 집중하였습니다. 그러나 광복 이후 이들이 수십 년간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그 사이의 시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하였어요. 아무도 이들의 이야기를 귀담아듣지 않을 때 ‘이들이 어떤 마음으로 살아왔고 어떻게 생존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전시 성폭력이 전후 성매매로, 그리고 기지촌 생활로 이어진 현실은 그동안 ‘위안부’ 담론에서 누락되고 간과된 고리였기에 이때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습니다. 


Q. 주인공 故 김순악 선생을 소개해 주세요.

1928년 경북 경산의 한 소작농 집안에서 태어난 김순악 선생은 16세 때 ‘공장에 취직시켜준다’는 말에 속아 만주를 거쳐 중국 장자커우(張家口) 시골마을에서 성폭력을 당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입니다. 광복 이후 극적으로 한국에 돌아왔지만, 유곽과 술집 그리고 미군 기지촌에 팔려나가 원치 않은 ‘색시 장사’를 하였습니다. 이후 두 아들을 홀로 키운 선생은 식모살이를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하였습니다. 2000년 즈음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을 만난 선생은 ‘위안부 운동’에 나서며 새로운 삶을 맞이하였고, 말년에는 압화공예 작가로 활동하기도 하였어요. ‘내가 죽어도 내게 일어났던 일은 잊지 말아 달라’고 유언한 선생은 2010년 1월 하늘의 별이 되었습니다.


alt

영화 〈보드랍게〉 장면들


Q. 유독 선생의 사연을 주목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

아카이브 영상에서 만난 끼와 흥이 넘치는 선생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에둘러서 이야기하는 법이 없는, 직설적인 화법을 가진 ‘깡패할매(영화 속 표현)’같은 캐릭터에 매료되었어요. 물론 한국 현대사의 질곡을 온몸으로 겪은 사연이 너무도 안타깝고 가슴 아프게 다가왔지요. 그렇기에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이 삶을 알려야겠다’라는 절실함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더불어 우리는 흔히 ‘위안부’라는 하나의 범주 안에 피해자들을 묶고는 합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한 분 한 분의 캐릭터와 삶의 여정은 너무나 다릅니다. 이제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하나로 묶기보다는 각자 다른 사연과 이야기를 세밀하게 다루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Q. 선생의 생애를 여러 여성이 낭독하는 방식이 인상적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위안부’ 이슈를 과거지사로 생각합니다. 혹은 이미 모든 쟁점들을 알고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 더 알아보겠다’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지요. 이렇듯 ‘고정된 테두리 안에 갇혀 있는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하면 그 너머로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오늘날 우리의 현실과 마주하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하였습니다. 그러다가 ‘동시대 젊은 여성의 얼굴과 목소리로 과거 증언을 낭독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들의 젊은 목소리로 ‘위안부’의 삶을 낭독하면 새로운 마주침, 새로운 깨달음, 새로운 감각이 생길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alt

영화 〈보드랍게〉 장면들


Q. 낭독에 빗대어 강조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었나요?

영화의 처음과 마지막에 선생이 살면서 들었던 여러 호칭을 여러 여성의 목소리로 낭독하는 장면이 있습니다. 누구나 살면서 다양한 이름과 정체성을 갖고 살아갑니다. 선생도 ‘위안부’ 피해자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체성을 안고 살아간 ‘한 사람임’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오프닝에서는 선생의 다양한 호칭을 들은 관객들이 ‘인간 김순악’에 대한 궁금증을 갖기를 바랐고, 영화 말미에서는 똑같은 음성을 들은 관객들이 처음과는 다른 느낌을 갖기를 바랐습니다. ‘각 호칭이 갖는 삶의 무게가 남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였습니다. 


Q. ‘보드랍게’라는 제목에는 무슨 의미가 담겨있나요?

영화 속 선생의 구술 중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옵니다. “‘그랬구나, 하이고 참, 애 묵었다.’ 이렇게 보드랍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없어.” 워낙 굴곡진 삶을 살아왔기에 ‘평생을 남들이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고 환대해주기를 바라셨구나’라는 생각에 가슴이 아팠습니다. 피해 당사자뿐만 아니라 지금도 우리 곁에 존재하는 사회적 약자들이 당하는 차별과 폭력에 대해 우리 사회가 얼마나 귀 기울이고 환대하고 있는지 묻고 싶어서 제목을 ‘보드랍게’로 정하였습니다.


alt

영화 속 김순악 선생의 삶을 재현한 이재임 작가의 애니메이션


Q.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상’과  제12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아름다운기러기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수상 후 가장 먼저 영화의 주인공인 선생의 얼굴이 떠올랐습니다. ‘하늘에서 덩실덩실 춤을 추며 기뻐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기쁘고 보람이 있었어요. 또한 이번 작품은 그동안 제가 해왔던 작업과는 여러모로 달라서 관람객에게 어떻게 다가갈까 걱정을 많이 하였는데, 상을 받고 나니 ‘제가 했던 고민들이 틀리지는 않았구나’라고 스스로 위안 받았습니다.


Q. 관객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보드랍게〉는 과거 ‘위안부’를 다룬 영화와는 달리 ‘새로운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어요. 많은 분들이 김순악 선생의 삶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위안부를 다룬 영화는 보기 힘들다’라고 지레 생각하기 쉬운데, 선생의 매력에 푹 빠져들다 보면 웃음과 감동 그리고 공감과 위로 모두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Q. 남겨진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남겨진 자들에게는 ‘피해 생존자들의 삶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그리고 ‘그분들이 남긴 증언들은 어떻게 들을 것인가?’와 같은 숙제가 남겨져있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우리 사회는 당사자들의 증언과 투쟁에 많이 의존해왔습니다. 하지만 피해 생존자분들은 이미 우리에게 수많은 증언과 자료들을 남겨주었습니다. 이제는 그 말들을 우리 사회가 올바르게 새겨듣고, 새롭게 해석하고, 현실에 적용시켜보는 일이 남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숙제를 미리 수행하는 심정으로 〈보드랍게〉를 제작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피해 생존자들의 말과 삶을 다양하게 해석하는 좋은 작품들과 뜻깊은 대화들이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MAIN TOP
SNS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