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관

일제강점기 해외 동포들이

써 내려간 항일 민족시가

<공립신보>와 「뎐씨 애국가」

인문학관

글 김동수(백제예술대학교 명예교수·시인)


일제강점기에 상하이, 만주, 블라디보스토크, 미주 등해외에서 발표된 망명 인사들의 항일 민족 시가들이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있다. 이 시가들은 1996년 필자가 미국 U. C. 버클리대학 동아시아 도서관(East Asian Library)에서 수집·정리한 자료들이다. 당시 국내에서 발간된 친일 문학들과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새로운 인식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alt


1.샌프란시스코에서 발간된 공립신보

2.하와이에서 발간된 태평양주보

3.소련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간된 선봉

4.친일파 스티븐스를 저격한 전명운

해외 동포들의 항일 문학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U. C. 버클리대학에는 한국학에 관한 자료가 많이 소장되어 있다. 특히 그곳 동아시아 도서관에는 학계에 아직 소개되지 않은 희귀한 고전문학 자료가 아사미(Asami) 문고를 비롯한 한국학 자료실에 다량 수집되어 있다. 

그중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미주를 비롯한 해외 동포들의 문학작품들이 존재한다.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에서 발간된 <공립신보→신한민보>(1905-1986)와 <태평양주보>(1930~),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간된 <대동공보>(1908-1910)와 <선봉> (1923-1937), 중국 상하이와 만주 북간도 등지에서 발간된 30여 종에 달하는 신문·잡지 등에 실린 아직 알려져 있지 않는 항일민족 시가들이 1,000여 편이나 있다.    

물론 이 중 일부는 국내 문학과 비교해 작품의 완성도 측면에서 미흡한 데가 있기도 하다. 하지만 한 시대의 문학을 평가함에 있어선 작품의 예술적 가치 못지않게 그 시대를 관류하고 있는 시대정신 또한 중요하다고 본다. 이런 측면에서 지난날 한민족이 참혹한 일제의 압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의연하게 일제와 맞서 싸웠다는 자랑스러운 참모습을 후세에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미국에서 탄생한 <공립신보→신한민보>

<공립신보(共立新報)>는 1905년 11월 20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재미교포 단체인 ‘공립협회’가 발간한 신문이다. 당시 우리 교포들은 하와이와 캘리포니아에서 주로 사탕수수와 파인애플, 감귤 농장의 노동자로 취업하면서 어려운 이민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때 미국으로 유학을 왔던 안창호가 한국 노동자들의 참혹한 삶의 현장을 목격하고 교포들의 권익 보호와 계몽의 필요성을 절감한 나머지 1905년 4월 샌프란시스코에서 공립협회를 창립하고, 11월 샌프란시스코 퍼시픽가에 회관을 설립하면서 교포신문을 발간하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인쇄 시설을 갖추지 못하여 매주 1회씩 발행하였으나, 이후 성금을 각출하여 1907년 4월 26일(제2권 1호)에 활자 인쇄로 신문을 발행하였다. <공립신보>의 간행 취지는 아래 논설에서 밝히고 있다. 

이후 <공립신보>의 성격은 국내 ‘신민회’에서 발간한 항일 민족 기관지인 〈대한매일신보>의 해외 대변지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그러던 1909년 2월 10일부터 공립협회가 다른 여러 교민 단체들과 ‘대한인국민회’로 통합되면서 <신한민보(新韓民報)>라는 이름으로 제호를 바꾸고 국민회의 기관지가 되었다.


광무 11년(1907년) 4월 26일에 활자로 제2권 제1호를 출간하여 면목이 

일층 새로워 보이는 점 군자의 마음을 신선케 하니 어찌 본보의 행복이 

아니리오. 이에 다시 강개한 말로 제위 동포에게 고하노니, 이제 국세를 

돌아보건대 모든 권리를 다 외인에게 빼앗긴 바 되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어육의 박활을 당하니 신민된 자 누가 통탄치 아니하리오. 

오늘부터 새 활판에 새로 출간하는 새 신문을 새로 보고 새 지식을 

발달하며 새 사상을 활발하며 동종상보하는 마음을 일백 번 꺾여도 

돌리지 말며 일만 번 죽어도 뉘우치지 말고 용맹 있게 전진하여 우리의 

국권을 회복하고 자유의 복 누리기를 천만 축수하노라.


<공립신보> 제2권 1호. 1907년 4월 26일자 논설


「뎐씨 애국가」와 스티븐스 저격 사건

‘뎐씨 애국가’는 1908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발간된 교포신문 <공립신보>에 실린 시가이다. 이 작품은 1908년 3월 유학차 미국에 온 전명운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조선총독부 외교고문이며 일제의 앞잡이 스티븐스를 저격한 후 어깨에 총상을 입고 병상에서 쓴 애국가이다.   

전명운은 1884년(고종 21) 평안도 출신으로 블라디보스토크에 건너갔다가 1905년 하와이로 이주한 뒤 이듬해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였다. 그는 학비와 생활비를 모으기 위해 철도 공사장과 알래스카 어장에서 막노동을 하였다. 그러면서도 조국 독립에 관심이 많아 안창호가 조직한 ‘공립협회’에 가입하였다.

그러던 1908년 3월 20일 일제의 앞잡이 스티븐스가 샌프란시스코 기자회견에서 “일본의 지배는 조선에 유리하며, 오히려 조선의 농민들과 백성들이 원하고 있다”라며 일본을 찬양하는 발언을 하였다. 이에 격분한 전명운이 1908년 3월 23일 스티븐스를 찾아가 방아쇠를 당겼으나 불발되자 격투를 벌였다. 그때 장인환이 나타나 권총 세 발을 발사해 복부를 관통시켰다. 

전명운과 장인환의 의거는 조선인의 울분과 기개 그리고 그 부당성을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미주 지역에서 숨죽이고 있던 8,000여 한인들의 애국심과 국권 회복 운동에 불을 지피는 전환점이 되었다.


어화 우리 동포들아 / 일심 애국 힘을 써셔

四千년의 신성동방 / 신세계에 빗내보셰

사농공샹 동력하면 / 대한뎨국 자연부강

자유독립하고 보면 / 세계상에 뎨일일셰

닛지말아 닛지말아 / 충군애국 닛지말아

일심하셰 일심하세 / 나라위해 일심하셰

건곤감리 태극기를 / 디구샹에 놉히날려

만세만세 만만세로 / 대한독립 어셔하셰


「뎐씨 애국가」 1908. 4. 1. 


MAIN TOP
SNS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