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
독립전쟁에 참여하다
임병극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BR />독립전쟁에 참여하다<BR />임병극

글 독립기념관 전시부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
독립전쟁에 참여하다

임병극


임병극(林炳極)

1885~미상

평안도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및 광복회와 공동으로 임병극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임병극은 만주에 망명해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 독립운동을 펼쳐나갔다. 그는 대한국민회군 지휘관으로 봉오동전투에 참여하였으며, 간도와 연해주 일대에서 대일항전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그의 공적을 기려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alt
‘봉오동전투’ 승리 기사(『독립신문』 1920. 6. 22.)



대한국민회군 제2중대장으로 독립전쟁에 참여하다

임병극은 1885년 평안도에서 태어났다. 1917년 북간도로 망명하여 대한국민회에 참여한 임병극은 외교실행위원으로 선임되어 중국 관·군의 협조를 얻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였다. 한편 1920년 초 북간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독립군단들이 통합을 모색한 결과 결성된 대한북로독군부에 임병극이 활동하던 대한국민회군도 동참하였다. 임병극은 대한북로독군부의 피복과장으로 선임되어 독립전쟁에 필요한 물자 조달을 책임졌다. 또한 대한국민회군 제2중대장으로 임명되어 독립전쟁의 일선에 나섰다. 1920년 6월 봉오동전투와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서 임병극은 독립군 연합부대의 중간 지휘관으로서 일본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는 데 힘을 보탰다.


alt
독립군이 사용한 무기(1920년대)



alt
대한독립군비단의 연해주 군대파견 현황



alt

국민대표회의선언서(1923)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 대일항전을 전개하다

청산리전투 후 임병극은 부하들과 백두산 서쪽의 안도현으로 이동하여 의용대를 조직하고 1921년 4월 말까지 국내 진입 작전을 전개하였다. 이후 근거지를 한·중 국경지대인 장백현으로 이동하여 대한독립군비단에 합류한 후에는 경호부장으로도 활동하였다. 1922년 중반 연해주로 이동한 후 그는 혈성단 및 한족공산당 등과 함께 고려혁명군을 조직하고 남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국내 진입 작전을 시도하였다.

1923년 초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편과 독립운동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열린 국민대표회의에 고려혁명군 대표자격으로 참가하여 임시정부의 개편과 무장투쟁 실천을 주장하였다. 국민대표회의가 끝난 후 연해주·북만주를 거쳐 연길로 돌아온 그는 3·1운동 5주년에 맞춰 간도 일대의 일본영사관 파괴·친일파 암살 등 의열투쟁을 계획하였다.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자 일제의 감시를 피해 지하활동을 이어가던 중 1924년 9월 중국군에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언도받았다. 간도와 연해주를 오가며 독립전쟁에 참여한 임병극의 공훈을 기리어 정부는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alt

중국군에 체포된 사실을 보도한 기사(『시대일보』 1924. 10. 8.)





a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