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의 숨결

파스텔 색감으로 물들다
전남 구례

파스텔 색감으로 물들다<BR />전남 구례

글·사진 임운석 여행작가


파스텔 색감으로 물들다

전남 구례


이맘때 구례에는 봄의 전령사 산수유가 흐드러지게 핀다. 은은한 색감에 향기마저 그윽해 정신이 아득하다. 그 가운데 ‘구름 속의 새처럼 평온하게 자리한 집’이 있으니 운조루다. 남도 지방의 대표적인 양반 가옥으로 200여 년이 넘는 세월만큼이나 많은 이야기가 켜켜이 쌓여 있다. 산수유꽃길을 따라 걸으며 운조루에 다녀왔다.


alt

개울을 따라 이어진 산수유나무


봄볕에 뒤덮인 남녘 마을

섬진강과 지리산 사이에 자리한 구례 산수유마을에는 3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산수유꽃이 푸지게 피어난다. 주체할 수 없는 몽환적인 색채 덕분에 상춘객의 마음은 구름처럼 가벼워진다. 이 마을에는 산책하기 좋은 ‘꽃담길’이 있다. 산수유 꽃길을 따라 조성된 걷기 길로서 1코스는 약 2.6km, 2코스는 약 3.2km이다. 1코스에 비해 조금 더 긴 2코스는 산수유사랑공원 뒷길에 자리한 방호정(전남 문화재자료 제32호)을 돌아 평촌교를 지난다. 

산수유사랑공원은 산수유의 유래와 효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산수유문화관 뒤편에 자리한다. 공원은 산수유 꽃말인 ‘영원불멸의 사랑’을 주제로 조성되었다. 입구에 설치된 하트 모양의 문을 연인이 손잡고 지나가면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공원 정상부는 이 마을에서 전망이 가장 좋은 곳이다. 언덕 위에는 포토존과 거대한 산수유꽃 조형물이 있다. 

방호정을 뒤로하고 평촌교를 건너면 마을 속으로 들어가는 고샅길이 열린다. 아득한 곳에 병풍처럼 에두른 지리산에는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어 봄이 무색하다. 봄과 겨울이 공존하는 독특한 풍광 탓에 사진가들의 발걸음이 잦다. 대음교 못미처 발걸음을 멈춘다. 냇물과 넓은 암반 그리고 산수유꽃이 어우러져 장관이다. 산책로는 사시천을 따라 이어진다. 그 길을 따라 걸으면 어느새 반곡마을이다. 마을회관에서 걸어왔던 반대편 산책로를 따라 내려가면 꽃담길 2코스를 완주한 셈이다. 

산수유마을은 어느 한 마을만의 이름이 아니다. 산수유꽃이 핀 산동면 모두가 산수유마을인 것이다. 수령이 1,000년에 달하는 산수유 시목(始木)이 있는 계척마을도 그냥 지나치기 아쉽다. 마을 앞 저수지를 돌아보고 견두산(775m) 마루에 올라 마을 전체를 조망해도 좋다.


alt

수백 년을 이어온 돌담길

alt

산수유꽃에 파묻힌 정자에서 노부부가 봄볕을 즐긴다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 운조루
봄날의 꽃길 산책은 꽃내음이 물씬한 운조루로 향한다. 운조루는 조선 후기 무신 유이주(1726~1797) 선생이 1776년(영조 52)에 세운 집이다. 어린 시절 산에서 호랑이를 만나자 채찍으로 호랑이의 얼굴을 내리쳐 물리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로 그는 기골이 장대한 장수였다. 건축에 남다른 식견을 보여 정조 때 대규모 건축 공사를 도맡아 탁월한 능력을 발휘했다. 그 경험을 토대로 선생은 조선 후기 대표 양반 가옥으로 평가받는 운조루를 구상했다. ‘운조루’는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라는 뜻과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라는 뜻을 가졌다. 하지만 원래 이름은 도연명의 칠언율시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에서 머리글자를 따서 지은 것으로 전한다. 집안의 부를 상징하듯 18칸의 행랑채가 ‘ㅡ’자로 길게 이어지고, 솟을대문을 지나면 ‘ㅗ’자 모형의 사랑채와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자리한다.


누마루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니
운조루에 들어서니, 유이주 선생이 물리쳤다는 호랑이 뼈가 솟을대문에 걸려있다. 호랑이 뼈가 액운을 막는다는 주장에 따라 대문에 걸어둔 것이다. 대문에는 ‘입춘대길’ 글자도 큼지막하게 써 붙여 놓았다. 복을 가까이하고 재앙을 멀리하고 싶은 것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어 보인다. 
대문을 지나자 큰사랑채와 오른편에 있는 아랫사랑채가 한눈에 들어온다. 큰사랑채는 막돌을 쌓아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온돌방과 대청, 누마루를 지었다. 이 누마루의 이름이 운조루이다. 사랑채의 기단 높이는 최소한 1m. 중앙 계단을 따라 대청을 지나 누마루에 오르면 마당에서부터 2m 정도 높이에 올라선 셈이다. 시야가 높아지니 행랑채 너머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망루에 올라 군사를 호령했던 무관 출신 유이주 선생의 기개를 느낀다. 
툇마루로 오르는 디딤은 돌이 아니라 통나무로 만들었다. 사생활 보호를 위해 하인들이 사랑채 안을 들여다보지 못하도록 미닫이 문지방 아래에 ‘머름’을 설치해 놓은 것도 우리 선조의 지혜이다. 누마루는 일반 가옥과 달리 처마가 깊어 추녀가 기둥 밖으로 많이 돌출되었다. 자칫 추녀가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보조 기둥인 활주를 세웠다. 활주를 떠받친 주춧돌은 다른 주춧돌과 달리 8각 기둥을 세워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뜻의 천원지방 사상을 표현했다. 기둥과 돌 간격이 조금 떠 있는데 이것은 습기에 취약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소금을 뿌리고 기둥을 세운 흔적이다. 이것을 ‘소금버캐’라 부른다.


alt

인공연지 뒤로 운조루가 자리하고 그 뒤로 배산이 있다

alt

누마루인 운조루


작지만 큰 배려, 그것은 사랑이라

큰사랑채와 아랫사랑채 사이에 중문을 통과하면 안채가 나온다. 마당 한가운데 놓여 있는 장독대가 여인들의 공간임을 대변해주는 듯하다. 안주인이 기거하는 안방, 며느리가 기거하는 건넌방, 음식을 조리하는 부엌과 보관하는 찬방, 곡식을 보관하는 곳간 등이 있다. 안채 대청마루 선반에는 가재도구들을 올려놓아 사람의 손이 여전히 닿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건넌방 벽면에 소박한 민화가 걸려 있다. 운조루에서는 주인장의 마음 깊은 배려를 느낄 수 있다. 첫 번째는 여성을 위한 배려다. 안채 건넌방에 2층 다락방을 만들어 밖에 나가지 않고서도 사랑채를 오가는 사람들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작은 창문에 지나지 않지만, 당시 여성들에게는 세상과 통하는 창이었다. 두 번째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배려다. 중문 사이에 있는 원통형의 뒤주에는 ‘누구나 뒤주를 열 수 있다’는 뜻의 타인능해(他人能解)라 적힌 글씨가 붙어 있다. 굶주린 사람들이 와서 쌀을 가져가도록 배려한 것이다. 일명 ‘가렛굴’이라 부르는 기단에 설치한 굴뚝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배려다. 굴뚝은 연기가 잘 빠지도록 지붕보다 높게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끼니를 거르는 사람이 많았던 당시, 밥 짓는 연기가 멀리까지 피어오르면 가난한 사람들이 상실감을 느낄 것을 염려해 굴뚝을 기단에 설치한 것이다. 세 번째는 몸이 불편한 어른을 위한 배려다. 가마가 솟을대문을 지나 중문까지 곧바로 들어갈 수 있도록 기단에 경사면을 설치한 것이다. 운조루는 세월의 깊이만큼 배려와 과학이 곳곳에 깃들어 봄빛처럼 밝고 봄볕처럼 따뜻한 집임이 분명하다.


alt

솟을대문에서 바라본 큰사랑채, 기단이 꽤 높게 설치되어 있다

alt

누구나 열 수 있다는 타인능해 뒤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