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지 4]
독립운동가 열전 집필기준
1. 집필 형식
1) 집필형식 : 인물의 생애와 독립운동에 관한 전반적인 서술을 원칙(해방 이후 활동에 관한 부분을 포함하되 전체 분량 중 4분의 1을 넘지 않음). 나열식 일대기 전기 서술은 지양하고 주요 활동과 특징에 중점. 집필자 개인의 ‘배타적인’ 의견은 배제.
2) 기술방법 : 논평을 포함한 평이한 문체로서 서술
3) 대 상 층 : 청소년 및 일반 대중
4) 원 문 : 외국어는 한글맞춤법표기안에 의거하여 현대문으로 작성(고문도 가능한 현대문으로 풀어 작성)
5) 도판 자료 : 열전 서술에 필요한 사진, 문건, 지도, 서한, 판결문, 신문기사 등 관련 자료를 원고 내용에 맞게 수록(출전을 표시)
2. 집필방법
1) 원고 분량 : 원칙적으로 200자 원고지 600매 내외
2) 서술은 근거자료에 기초하여 상황재현, 대화체 등의 문학적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3) 원고는 한글로 표기를 원칙. 단 인명‧지명 등 고유명사 중 한자는 처음 표기될 때 한글 뒤 ( )안에 한자를 병기하고, 기타 외국어는 원명을 괄호 없이 병기. 일본과 중국은 현지음을 쓰고 ( )안에 한자를 표기
4) 각주는 사용하지 않음을 원칙. 특별한 경우 ( ) 속에 간단히 표기
5) 본문 중 논문 ‧ 기사제목 ‧ 조약 등은 「 」, 서명‧신문명 등은 로 사용
6) 인용문은 “ ”와 강조는 ‘ ’를 각각 사용
7) 기타는 일반 관례에 따름
3. 참고문헌
1) 사료는 서술 인물과 밀접한 경우에만 제시
2) 참고문헌은 다음의 방식으로 서술
① 독립신문 1921년 3월 4일, 「임시의정원 국내외 동포에게 고함」.
② 이성원, 「북만 최초의 한인마을 高安村의 개척자들」, 月刊中央 10월호, 1993.
③ 김인식, 민세는 왜 통일전선운동을 모색했나, 인물연구사, 2005.
④ 박성우, 「사회주의운동가에게 조국은 무엇인가」, 현실사회 창간호, 사회운동협의회, 1993.
4. 연보
1) 일대기를 알기 쉽게 최대한 자세하게 서술
예 : 1897년 5월 출생 →1897년 5월 부 **와 모 ??의 2남 4녀 중 차남으로 태어남
2) 인물과 관련된 직접적인 사건이 아닌 경우에는 가급적 회피
3) 분명한 증거나 고증에 의한 사실이 아닌 추정은 피함
예 : 10대 소년으로서 적개심에 불타 일본군 5명을 살해하고 망명하는 등...
* 기타 자세한 사항은 기존 발간된 독립운동가 열전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