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16 독 립 기 념 관 연 차 보 고 서 TH E IN D EPEN D EN C E H A LL O F K O R EA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2016 ANNUAL REPORT 독립기념관 연차보고서
목차 사업성과 전시 16 교육 18 연구 22 고객서비스 26 홍보 28 경영성과 재무성과 34 인재관리 36 윤리경영 38 사회공헌 40 일반현황 기관장 메시지 06 기관연혁 08 기관현황 10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12
1. 기관장 메시지 2. 기관연혁 3. 기관현황 4.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일반현황
변화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켜가겠습니다. 2015년에는 광복 70주년 기념사업과 다양한 독립운동 선양사업을 실시하였고, 2016년에는 ‘전시교체’, ‘나라사랑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겨레의 집 리모델링’ 등을 중점사업으로 선정하여 실시하였습니다. 개관 이래 세 번째로 진행되는 이번 전시교체는 독립을 넘어 인류평화를 지향한 독립운동의 본질인 ‘평화공감’을 주요주제로 하여, 독립운동이 단순한 투쟁이 아닌 인류평화운동이라는 사실에 역점을 두고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나라사랑 교육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청소년학교, 문화융합교육, 군인대상교육, 교육프로그램 및 교구재 보급사업을 신규·확대 실시하여 교육프로그램 확산에 주력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의 상징건물인 ‘겨레의 집’은 리모델링을 통해 국민들의 전시문화복합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은 독립운동 선열들의 위대한 여정을 기억하고 후손들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해 노력할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7년은 독립기념관 개관 30주년으로 한층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신뢰와 사랑을 받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고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따뜻한 격려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독립기념관장
1982 08.28 건립 발기대회 08.31 성금모금 착수 10.05 건립추진위원회 설립 1986 05.09 독립기념관법 공포시행 (법률 제3820호) 08.20 독립기념관 법인 설립 1995 08.15 통일염원의 동산 준공 2000 04.05 새천년 상징 밀레니엄 숲 조성 2007 11.13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사 단 법 인 한 국 서 비 스 진 흥 협 회 2009 09.10 국가생산성대상 노사협력특별상 수상 11.26 한국서비스품질 우수기관인증 2013 02.28 독도학교 개교 09.30 종합서비스센터 신축 개관 2016 12.01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여성가족부) 1983 08.15 기공식(토목공사 착공) 1987 02.10 독립운동사연구소 설립 08.15 독립기념관 준공 및 개관 1998 08.11 구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조성 2005 05.18 소관부처 이관 (문화관광부→국가보훈처) 09081. 기관장 메시지 2. 기관연혁 3. 기관현황 4.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2016 Annual Report 일반현황 2008 01.01 독립기념관 무료관람 시행 (법률 제8536호) 08.11 독립군체험학교 개관 10.07 밝은누리관(교육관) 개관 10.10 4D 입체영상관 개관 2010 08.11 4,000만 번째 관람객 입장 08.12 기증자료전시관 개관 09.07 으뜸 관광명소 선정 2015 09.09 다목적 체험교육관 (겨레누리관) 준공 12.22 국가상징 선양 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
설립목적 독립기념관은 외침을 극복하고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지켜 온 우리 민족의 국난극복사와 국가 발전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ㆍ보존·전시·조사·연구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의 투철한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2016년 예산현황 예산과목 금액(억 원) 비율 국고보조금 284 91.9% 자체수입 25 8.1% 합계 309 100% 예산과목 금액(억 원) 비율 사업비 225 72.8% 경상비 79 25.6% 예비비 5 1.6% 합계 309 100% 세입 세출 경영현황 설립일자 1986년 8월 20일 기관장 윤주경(2014.9.21 ~ 2017.9.20) 법적근거 독립기념관법(법률 제3820호) 이사회 상임이사 1명, 비상임이사 14명 주요시설물 및 자료현황 구분 전시주제 전시물(점) 사진 겨레의뿌리 (제1관) •민족의 뿌리와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 •불굴의 의지와 대외항쟁 245 겨레의시련 (제2관) •개항기~국권상실 •일제침략상 274 나라지키기 (제3관) •의병전쟁 •애국계몽운동 75 겨레의함성 (제4관) •3ㆍ1 운동 109 나라되찾기 (제5관) •독립전쟁 •의열투쟁 •해외무장투쟁 186 새나라세우기 (제6관) •민족문화수호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146 함께하는 독립운동(제7관) •독립운동 체험전시 •특별기획전시 - 입체영상관 •4D 입체영상 - 계 1,035 부지 3,339,264㎡(117만 평) 건축물 겨레의 집과 상징건축물, 전시관, 입체영상관 등으로 구성 소장자료 (단위 : 점) * 보물 : 이광악 공신교서(1986.6.16 지정, 보물 952호) 1점 * 등록문화재 : 김구 서명 태극기(2008.8.12 지정) 등 35점 * 국가지정기록물 : 조선말큰사전 편찬원고(2008.11.3 지정) 등 53점 구분 전적류 문서류 문화예술종교류 생활류 군장류 산업생업류 과학기술류 동영상류 사진필름류 계 수량 19,292 43,303 1,028 2,483 605 2,039 3,468 689 24,079 96,986 사업영역 자료의 수집·보존·관리 및 전시 민족정신을 선양하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기 위한 국민교육 자료의 홍보 및 간행물 제작·배포자료의 조사·연구 시설의 관리 및 확충 운영재원 조달사업 독립기념관은 2실 4부 1연구소 1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원은 91명입니다. 현재 정규직 88명, 무기계약직 13명, 계약직 19명, 인턴직원 5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조직현황 이사회 감사 감사부 연구소사무처 관장 기획조정실 학예실 교육센터 홍보문화부 고객지원부 경영관리부 11101. 기관장 메시지 2. 기관연혁 3. 기관현황 4.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2016 Annual Report 일반현황
경영목표 주요성과비전 및 전략목표 13121. 기관장 메세지 2. 기관연혁 3. 기관현황 4.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2016 Annual Report 일반현황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정신을 선양하여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한다 국민이 즐겨 찾는 나라사랑정신 함양의 중심기관 미션 비전 나라사랑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대국민 공감전시 강화 독립정신 계승발전 연구 확대 창의적 경영환경 조성 행복한 여가문화 제공 전략목표 대국민 공감 전시 강화 중국 국제교류전 개최 •광복 제71주년 기념 중국 9ㆍ18역사박물관과 상호 특별기획전 개최를 통한 항일투쟁의 역사의식 공유 - 일제의 중국 동북침략과 중국인의 항일전쟁(8.4~10.4, 독립기념관) - 중국 동북지역의 한인 항일전쟁(9.1~12.31, 9·18역사박물관) 일본 국제교류전 개최 •우리관 최초 일본 내 한국독립운동을 소개하는 국제교류전 개최 •식민지 침략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 및 평화의식 공유 - 일본에서 전개된 한국독립운동과 일본인 (9.29~11.18, 재일한인역사관) 광복절 특별전 개최 •국민 공감주제인 스포츠를 통해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의 고난과 역경을 극복한 과정을 전시 - 역동 대한민국 스포츠, 고난과 환희의 역사(8.15~10.30) 나라사랑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대상별 프로그램 확충 •청소년 자유학기제 대응 ‘독립기념관 청소년학교’ 확대, ‘문화융합교육’ 신규 실시 •군인 대상 ‛정훈장교 독립운동사 교육’,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군부대편’ 신규 실시 •전시관람 지원사업 ‘전시물로 살펴보는 우리역사’ 신규 실시 독립기념관 교육프로그램 확산 •독도탐구학교 프로그램·교구재 보급 사업 (20개교 734학급 16,039명 참여) •해외 한글학교 교육프로그램·교구재 지원 (호주 광복회 민족캠프, 칠레 한국학교 등) 독립정신 계승발전 연구 확대 독립운동사의 대중화와 국제화 •주제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 사업 시작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 파리 디드로대학과 공동학술회의 프랑스 현지에서 최초 개최 자료수집 및 희귀자료 공개 •일본 한국근현대사 연구자 가나모리 쇼사쿠 소장 자료 등 총 5,821점 수집 •1932년 윤봉길 의거 후 상해의 실상을 알려주는 배준철 일기 등 유품 자료 수집 행복한 여가문화 제공 청소년 야영장 시설 개선 •대형장비(캠핑카) 전용 구역 정비, 그늘목 식재, 실내 샤워장 환경개선, 야간 순찰인력 배치 국가상징물 체험행사 •3월 : 3·1 태극기 터널 포토존 운영 •8월 : 광복71주년 기념 ‘대형 태극기 나무’ 포토존 운영 •주요 계기행사 시 국가상징물 체험 운영(태극기 바람개비 만들기, 무궁화 머리띠·볼펜만들기 등) 나라사랑정신 고객중심 소통 & 화합 핵심가치 전략과제 기획전시 콘텐츠 강화 체험전시환경 다변화 연계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수요자 맞춤 교육 다양화 특성화교육 강화 관람서비스 및 환경개선 홍보문화행사 활성화 한국독립운동 세계화 학술연구 기반 강화 연구성과 대중화 미래지향적 조직역량 강화 경영관리시스템 효율화
사업성과 1. 전시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소개 독립기념관은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상설전시관 교체사업과 기획전시 콘텐츠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국제교류전 개최 중국과 일본의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국제교류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중국 국제교류전은 중국 심양에 위치한 9ㆍ18역사박물관과 독립기념관이 각각 상대국가의 항일운동을 주제로 한 특별기획전을 개최하는 전시였습니다.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 속에 개최된 특별기획전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대항한 항일운동의 역사의식을 공유하고, 동아시아의 평화ㆍ공존ㆍ번영을 위해 함께 노력해갈 것을 다짐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었습니다. 또한 국내 기관 중 최초로 일본에서 독립운동을 소개하는 국제교류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일본 주재 대한민국영사관, 일본에서 활동 중인 한인단체들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개최된 특별기획전은 일본의 침략전쟁에 대한 진정한 반성을 촉구하고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겨보는 자리였습니다. 특히 일본 제국주의 침략을 반대하고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던 일본인들의 활동을 소개하여 비인도적이며 반인류적인 침략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함께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광복절 특별전 기증자료전 사업실적 사업명 사업내용 사업기간 특별기획전 제97주년 3ㆍ1운동 기념 사진전 ‘일본 제국주의, 그 야만의 기록’ 16.03.01~16.05.15 2016년 제1차 야외사진전 ‘태극기, 독립운동의 현장에서 나부끼다’ 16.05.03~16.08.10 2016년 기증자료 특별전 ‘기증, 나눔과 공유’(3차) 16.06.01~17.01.31 광복 71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역동 대한민국 스포츠, 고난과 환희의 역사’ 16.08.15~16.10.30 제2차 야외사진전 ‘광복, 그 의미와 소중함을 되새기다’ 16.08.15~16.11.04 제3차 야외사진전 ‘관람객의 눈으로 바라본 독립기념관의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 16.11.10~17.02.28 국제교류전 심양 9ㆍ18역사박물관 상호 국제교류전 ‘일제의 중국 동북침략과 중국인의 항일전쟁’ 16.08.04~16.10.04 (한국 독립기념관) 심양 9ㆍ18역사박물관 상호 국제교류전 ‘중국 동북지역의 한인 항일전쟁’ 16.09.01~16.12.31 (중국 9ㆍ18역사박물관) 재일한인역사관 국제교류전 ‘일본에서 전개된 한국독립운동과 일본인’ 16.09.27~16.10.28 이달의 독립운동가 조희제, 한시대, 스코필드, 오영선, 문창학, 안승우, 이신애, 채광묵ㆍ채규대, 나중소, 나운규, 이한응, 최수봉 매월 1일~말일 순회전 순회전시물 대여를 통한 유관기관 지원(35회) 연중 제7관 체험아이템 개발 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 체험아이템 신규 개발 16.12월 완료 상설전시관 전시교체 제4전시관(겨레의 함성) 전시교체 진행 中 16~17년 연속사업 다양한 계기에 따른 특별기획전 개최 제97주년 3ㆍ1절 기념 ‘일본 제국주의, 그 야만의 기록’ 사진전과 광복 제71주년 및 개관 29주년 기념 ‘역동 대한민국 스포츠, 고난과 환희의 역사’ 특별기획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아울러 ‘기증, 나눔과 공유’를 주제로 한 2016년 기증자료전, ‘태극기’ㆍ‘광복’ㆍ‘독립기념관의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을 주제로 한 야외사진전 등을 개최하여 국민들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일본 국제교류전중국 국제교류전 개막식 중요자료 문화재 및 국가지정기록물 등록 독립운동사 관련 사료 또는 독립운동가 유품, 희귀성이 있는 자료 등 중요자료에 대한 문화재 및 국가지정기록물 등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중요자료 현황으로는 보물 1점과 등록문화재 35점, 국가지정기록물 53점이 등록되어 있으며 향후에는 문화재 및 국가지정기록물뿐 아니라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등록문화재 제389호) 독립선언서 보성사판(국가지정기록물 제12호) 상설전시관 신규 콘텐츠 개발 및 보완 7개 상설전시관의 전시콘텐츠 및 체험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신규 개발ㆍ보완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제7관 ‘세우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코너의 체험아이템을 신규 개발하여 초ㆍ중등 학생들의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체험전시관 ‘세우자! 대한민국임시정부’ 입구 신규개발 체험아이템 17162016 Annual Report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성과
19182016 Annual Report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실적 사업분류 사업명 기간 인원(명) 횟수(회) 어린이 청소년 교육 초등 개인 토요역사체험 1~10월 380 10 초ㆍ중등 단체 나랑 닮은 독립운동가는? 4, 10월 1,514 23 초ㆍ중등 단체 전시관람지원사업 9~11월 1,627 14 중ㆍ고등 단체 독립기념관 청소년학교 11~12월 246 8 고등 단체 독립기념관 런닝맨 4~11월 871 3 고등 단체 문화예술융합교육 11월 32 1 관람객 전시연계교육 7~8월 11,162 1 독립군체험학교 초등 학급 어린이 독립군체험학교 3~11월 1,926 60 중등 단체 청소년 독립군체험캠프 8~10월 988 8 고등학생 신흥무관학교 발자취를 따라서(답사) 7월 31 1 독도학교 초등 학급 독도는 어떤 모습일까요? 4~11월 1,401 45 중ㆍ고등 학급 독도는 우리 땅! 4~9월 908 26 가족 가족캠프 독도야 놀자 4, 5, 6, 9, 10월 198 5 관람객 전시관에서 살펴보는 독도 이야기 5, 6, 9, 10월 5,269 8 재외동포 가족 Do you know Korea and Dokdo? 6월 68 2 독도탐구학교 교원 독도 현장 답사 8월 46 1 교사 연수 8월 32 1 초등 개인 나는 독도 지킴이 11~12월 69 2 방문 교육 초등 학급 독립기념관 학교 속으로! 4,11월 416 17 지역 초등학교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국내편 5, 6, 7, 10, 11월 2,712 5 군부대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군부대편 10~12월 1,025 2 해외 한국학교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해외편 12월 1,649 1 일반인 전문가 교육 대학생 대학생 독립운동유적지 답사 6~7월 40 1 교원 교원직무연수 1,8월 109 3 안내해설사 현충시설 안내해설사 교육 3,11월 80 2 일반인, 군인 Good Leader 역사교육 3~11월 2,843 37 정훈장교 정훈장교교육 9월 27 1 재외동포 외국인 교육 재외동포 재외동포 독립기념관 탐방 7월 29 1 외국인 외국인 독립기념관 탐방 1~11월 340 11 공모대회 초ㆍ중ㆍ고등학생 독립기념관 관람감상문 공모대회 공모 : 3월~10월 시상식 : 12월 1,986 1 현충시설교육 협력망 현충시설 관계자 현충시설 역량강화 국외사적지 답사 2월 27 1 초ㆍ중ㆍ고등학생 현충시설 연계 교육 7~12월 282 6 계 총 32개 프로그램 38,333 308 사업소개 독립기념관은 국난극복 및 독립운동사를 주제로 어린이ㆍ청소년, 성인, 외국인 등 대상에 따라 박물관교육, 역사연수, 현장답사와 같은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교육프로그램ㆍ교구재 보급사업을 통해 한국인의 독립정신을 국내외에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도학교 독립군 체험학교 사업성과
21202016 Annual Report 대상에 맞는 독립운동사 교육프로그램 기획ㆍ운영 2016년에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실시에 따른 청소년 교육수요와 육군본부와 MOU 체결로 인한 군인 교육수요에 대응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기획ㆍ확충하였습니다. 중등학교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독립기념관 청소년학교’는 독립기념관의 특성을 살린 진로체험과 독립운동사 학습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은 큐레이터가 되어 전시관 유물을 활용한 교육자료나 리플릿 만들기 활동을 하였습니다. ‘청소년 문화융합교육’은 문화예술을 역사와 접목한 신규 프로그램으로, ‘일본법정에 선 안중근의사 만나기’를 주제로 외부 연극 전문인력과 협업하여 프로그램을 기획ㆍ운영하였습니다. 군인 대상 프로그램으로는 ‘정훈장교 독립운동사 교육’을 신규 기획하여, 장병 교육 담당자의 특성에 맞춰 ‘한국 독립운동의 의의’ 등 6개 강좌와 예산ㆍ홍성지역의 독립운동사적지 답사로 구성된 2박 3일간의 연수를 운영했습니다. 또한 독립기념관 방문이 어려운 군부대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군부대편’을 신규로 실시하여 다양한 체험활동(이야기 독립운동사 전시, 독립운동사 특강, 독립군가 배우기 등)을 통해 군장병의 독립운동사에 대한 관심제고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관람객의 전시관 관람 지원 프로그램 확대 관람객의 의미 있는 전시관람을 위해 전시관 관람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였습니다. 가족 관람객을 위한 여름방학 특집 전시연계 체험교육은 ‘우리가족 역사탐험대’를 사업명으로 하여 2~6전시관의 주요 전시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가족 단위 관람객 자녀의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를 반영하여 전시관 활동지 난이도를 두 종류로 제작함으로써 보다 많은 관람객 가족이 참가하였습니다. 초ㆍ중등학교 단체 관람객을 위한 전시관람 지원사업 ‘전시물로 살펴보는 우리역사’는 관람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한 신규 프로그램입니다. 오리엔테이션 후 관람객들이 자율로 전시관을 탐방할 수 있는 체험활동지를 제공하여, 9월에서 11월까지 1,627명이 참가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 청소년학교 전시연계 체험교육 정훈장교교육 독립기념관 교육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노력 독립기념관에서는 그동안 축적된 교육역량을 확산시키기 위해 국내외 교육기관에 교육프로그램과 교구재를 보급하고 있습니다. 독도학교에서 운영하는 ‘독도탐구학교 프로그램’에서는 올해 대전교육청과 MOU를 맺고 대전지역 초등학교 20개교를 독도탐구학교로 지정하였습니다.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연수와 답사를 실시한 후 교수학습자료, 수업활동교구재 일체를 제공하여 734개 학급에서 16,039명이 교육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국외로는 호주광복회의 민족캠프 프로그램 운영과 칠레 한국한글학교의 한국역사 수업을 위한 교수자료와 수업교구재를 지원하고, 미국 실리콘밸리 한국학교를 비롯하여 한글학교 16개교와 한국문화원 39개처에 역사교재를 배부했습니다. 독도탐구학교 교원 교육 독도 교육프로그램 보급 현충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현충시설 교육협력망 사업 강화 현충시설 교육협력망 사업의 일환으로 각 기념관에서 전시ㆍ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현충시설 관계자 역량강화 국외사적지 답사’를 신규 기획하였습니다. 27개 기관의 담당자들이 참가하여 중국 상해와 남경 지역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 청사 등 독립운동 사적지를 답사하고 남경대학살기념관 등 유관기관의 전시와 교육운영 현황을 살펴보았습니다. ‘독립운동과 나라사랑을 이야기하다!’를 주제로 한 올해의 ‘현충시설 체험 박람회’에는 독립운동기념관 30개처와 국가수호기념관 4개처 등 역대 가장 많은 34개 기관이 참여하였습니다. 각 기관을 소개하는 전시에는 40,208명, 체험활동에는 가족 8,000여 명(어린이 2,059명 포함)이 참가하였습니다. 현충시설 관계자 역량강화 국외사적지 답사 현충시설 체험 박람회전시관람 지원사업 사업성과 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23222016 Annual Report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소개 사업실적 역사자료의 수집과 분석, 독립운동사 학술서적 발간, 학술심포지엄, 국내외 사적지 조사사업 등 다양한 학술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독립운동사 연구의 중추기관으로 학술 연구사업을 심도 있게 진행하여 독립운동사 연구를 선도하며, 독립운동사 연구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사업명 일자 실적 주요내용 연구 및 발간 2016.1~12 10권 •논문집 『한국독립운동사연구』 발간(제53집, 제54집, 제55집, 제56집) •주제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한말의병운동, 헤이그 특사외교) •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발간(제38집, 제39집) •일본 역사왜곡 대응 교육용 시리즈 발간(한글/일문 동시발간) 학술심포지엄 2016.1~12 4회 •광복 71주년 및 우리관 개관 29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8.11) •광복 71주년 및 한ㆍ일수교 51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도쿄, 9.29)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11.11)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11.15) •월례연구발표회(11회) 자료수집 및 희귀자료 공개 2016.1~12 5,821점 •국내외 자료 수집 독립운동가 열전 편찬 2016.1~12 10권 •현순, 권기옥, 이동녕, 임병찬, 김승학 김학규, 신돌석, 양세봉, 송종익, 안창호 국제학술교류 2016.4~12 5회 •한ㆍ불수교 130주년 기념, 파리 디드로대학과 공동학술회의 개최(파리, 4.11) •한ㆍ불수교 130주년 기념 특별전시회 개최(파리 제1구청, 4.5~15) •중국 9ㆍ18역사박물관과 공동학술회의 개최(심양, 9.2) •국제 2차 세계대전 박물관협회 연례회의 및 공동전시회 참여(모스크바, 10.12) •한국광복군 재조명, 한중역사포럼 개최(천안, 12.9) 국외사적지 조사사업 2016.1~12 중국 등 •국외사적지 실태조사 및 심화조사 •국외사적지 현지 관리기관 운영 •국외복원 사적지 안내원 초청 교육 •복원사적지 전시보완 및 보수지원 국내사적지 조사사업 2016.1~12 전국 •표지물 설치 •사적지 활용 역사교육자료 개발 •교육자료 주제별 책자 발간 •‘나라사랑 역사의 길’ 답사코스 개발 등 연구성과물의 발간 대내외 학술행사 개최 학술논문집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53∼56집) 발간 『한국독립운동사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학술지로 학계로부터 학문적 위상을 인정받아 왔습니다. 새로운 역사적 사실의 발굴로 독립운동사 연구에 공헌하고, 일반 대중과 학계에 독립운동사를 알리며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독립운동 논문 게재 기회 확대와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기 위해 기존 연간 3권에서 2016년부터 연간 4권을 발간하였습니다. 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제38~39집 발간 이번에 발간한 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제38~39집 『大阪朝日新聞 韓國關係記事集(Ⅰ),(Ⅱ)』은 1919년 9월부터 1921년 12월까지 오사카아사히신문에 실린 한국 관련 기사를 발췌하고 그 내용을 번역해 실은 것입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2009년 오사카아사히신문에 실린 3·1운동 관련 기사를 자료총서 제25집으로 간행한 바 있습니다. ≪오사카아사히신문≫은 ≪요미우리신문(讀賣新聞)≫,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과 함께 일본의 3대 일간지로 꼽히는 영향력 있는 신문입니다. 오사카아사히신문에 실린 한국관련 기사에 비록 일제 침략자의 시각이 반영되어 있지만, 독립운동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습니다. 제38집은 1919년 9월부터 1920년 8월까지 일어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동향을 비롯하여 강우규의사의 사이토 총독 처단 미수 의거, 봉오동승첩, 간도 독립군의 국내 진공 등과 관련한 보도가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제39집에는 1920년 9월부터 1921년 12월까지 청산리대첩과 간도참변, 양근환의사의 민원식 처단 의거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이러한 자료총서 발간을 통해 계속적으로 독립운동사 연구자료를 보급하고 학계의 독립운동사 연구를 더욱 진작해 나갈 것입니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매년 정기 및 계기 학술회의를 개최해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깊이 있는 학술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학계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016년 학술회의는 다음과 같이 개최되었습니다. 구분 일자 장소 대주제 광복 71주년 기념 및 개관 29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8.11 한국언론진흥재단 21세기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 광복 71주년 및 한ㆍ일수교 51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9.29 일본 도쿄 한국YMCA 일본에서의 한국독립운동과 일본인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11.11 충남대 문원강당 대전지역 항일독립운동 재조명 충북대 중원문화연구소와 공동학술회의 11.15 문절영당 덕은재 덕은재(덕신학교) 복원기념 사업성과
25242016 Annual Report 한국독립운동사의 대중화와 국제화 주제별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 사업 시작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가운데 가장 알리고 싶거나 주목해야 할 주제 50개를 1차로 선정해 매년 2~3권씩 발간하는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였습니다. 한국독립운동사의 대중화를 위해 전문적인 역사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습니다. 이번에 발간한 『한말의병운동』과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특사외교와 국제관계』는 이러한 기획 의도를 갖고 만든 첫 번째 결과입니다. 최대한 알기 쉽게 서술하고 많은 도판 자료를 활용하여 역사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한국독립운동사의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역사가 오늘날 대한민국 발전의 근원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일본 역사왜곡 대응 교육용 소책자에 대한 관심 증대로 추가 발간 2014년부터 일본의 역사왜곡 문제를 다룬 교양서 시리즈를 기획하였습니다. 2014년 제1집 『일본근대의 보도판화는 한국사를 어떻게 왜곡했나?』, 2015년 제2집 『일본군 ‘위안부’ 알고 있나요?』에 이어 2016년에는 일제의 한국 강제병탄의 불법성을 논증한 『근대 일본은 한국을 어떻게 병탄했나?』를 발간하였습니다. 한국어판과 일본어판을 함께 만들어 국내는 물론 일본 현지에 보급하여 일본 역사왜곡의 실상을 바로잡는 데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특히 제2집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대로 1,000부를 추가 제작하였으며, 연세대학교 고상덕 교수로부터 영어판 번역을 위한 목적성 기부금 1천만 원을 수령하여 2017년에는 『일본군 ‘위안부’ 알고 있나요?』 영어판을 발간할 예정입니다. 다양한 국제교류활동을 통한 한국독립운동사의 세계화 인식 제고 세계 각국의 유관기관과 다양한 국제교류 활동을 통해 자유와 평화를 지향한 한국인들의 독립운동 정신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한ㆍ불수교 130주년을 맞아 프랑스 현지에서 학술회의와 전시회를 동시에 개최하였고,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회 국제2차세계대전박물관협회에 참여하여 상임이사국이자 부이사장(독립기념관장)에 선임되어 한국독립운동의 국제적 위상을 높였습니다. •한ㆍ불수교 130주년 기념, 파리 디드로대학과 공동학술회의 개최(파리, 4.11) •한ㆍ불수교 130주년 기념 특별전시회 개최(파리 제1구청, 4.5~15) •중국 9ㆍ18역사박물관과 공동학술회의 개최(심양, 9.2) •국제 2차세계대전 박물관협회 연례회의 및 공동전시회 참여(모스크바, 10.12) 자료수집과 희귀자료 소개 자료수집 국내외의 독립운동가 유족 및 전문연구자 등 자료소장가(처)들로부터 자료를 기증받거나, 희귀한 독립운동자료는 직접 구입하여 수집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유럽 등지에 산재한 독립운동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수집을 병행해 새로운 자료를 계속 발굴해 오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일본의 한국근현대사 연구자인 가나모리 쇼사쿠 교수가 평생 모아둔 자료 4,500여 점을 비롯하여 중국 상해에서 활동한 배준철이 남긴 자료 등 총 5,821점을 수집하였습니다. 이 자료들 가운데는 실물 도서와 일기장, 사진 등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우리관의 전시와 교육, 연구에 활용될 것입니다. 일본의 개인연구자인 가나모리 쇼사쿠(金森襄作) 소장 자료 일괄 기증 가나모리 쇼사쿠 교수는 한국근현대사를 연구한 개인 연구자로 일본 교토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한국 유학 당시 많은 자료를 수집하여 일본으로 돌아갔고, 학계 은퇴를 준비하던 중 한국에서 수집해 온 자료를 한국으로 돌려주어야 하겠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2015년 우리관 연구소 연구위원이 직접 일본으로 가 가나모리 쇼사쿠의 소장 자료를 열람하고 기증 의사를 확인한 후, 2016년 2월 가나모리 쇼사쿠가 평생 모아온 한국 관련 자료 4,500여 점을 인수하였습니다. 이들 자료 속에는 1910년 경술국치 전후 한국주차헌병대 사령관을 역임한 아카시 모토지로(明石元二郞)의 친필서한을 비롯하여 연구와 전시 교육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물 자료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국 상해에서 활동한 배준철 유품 자료 수집 배준철(1918~1997)은 평북 선천 출생으로 1932년 윤봉길 의거 당시, 도산 안창호에게 피신하라는 전갈을 하러 간 소년입니다.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를 떠나면서 현지에 남아있던 한인 사회의 실상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 없었으나, 이번에 수집한 ‘배준철 일기’는 1930년대 독립운동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전망입니다. 함께 수집한 사진 자료 속에는 윤봉길 의거 현장인 홍구공원 전경, 한인 독립운동가가 묻힌 정안사로 외국인 공묘, 한인소년척후대(보이스카웃) 대원의 활동상 등 1930~40년대 실상이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 한인 사회의 동향과 독립운동의 모습을 복원해 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나모리 쇼사쿠 소장 자료에 포함된 아카시 모토지로 친필서한(1909. 8. 2)일본 역사왜곡 대응 교육용 소책자 시리즈 배준철 소장 사진 자료첩중국 9ㆍ18역사박물관과 공동학술회의 사업성과 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27262016 Annual Report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소개 역사와 자연이 함께하는 독립기념관은 고객 중심의 관람서비스 제공 및 쾌적하고 안전한 관람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맞춤형 해설서비스 지원 평일 단체, 일반관람객 해설 및 군인특화 해설서비스 운영을 통해 나라사랑정신을 고취하고 재방문 동기를 부여하였습니다. 또한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통일염원의 동산 해설 및 타종 기회를 제공하고 가을 단풍나무길과 연계한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해설을 확대하여 야외 시설의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기회 제공으로 관람만족도를 상승시키고 있습니다. 청소년 야영장 이용자 중심 시설보완 연평균 6만여 명 이상 이용하는 시설로 전문가 자문 및 야영장 이용객 만족도 조사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캠핑카 전용 구역 정비, 남녀샤워장 실내 환경 보수, 그늘목 식재, 야간 순찰인력 배치 등 주요 편의시설을 보완하였습니다. 이러한 적극적인 활동으로 전년대비 이용객이 3천 명 이상 증가하였고 중부권 국민 여가활동 대표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독립119안전센터 신축 주차장 방범 카메라 설치 독립119안전센터는 29년 동안 독립기념관 및 천안 동부지역 화재진압ㆍ구조ㆍ구급 활동을 하였습니다. 장기간 사용으로 건물의 노후가 심각하였으며 남녀휴게실 미비로 여성 소방대원의 근무 기피현상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독립기념관 주차장 지역으로 이전ㆍ신축하여 2016년 10월 31일 준공을 통해 화재로부터 국가 중요시설물 보존 및 비상사태에 대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였습니다. ※ 독립119안전센터 신축 현황 : 연면적 680㎡(1층 : 사무실, 차고, 창고 / 2층 : 대기실, 식당, 체력단련실) 독립기념관 경계울타리 교체 30년 전에 설치된 철제 경계울타리(약 4.8㎞)가 흑성산 중턱까지 설치되어 있어 입장객 또는 지역주민에게 통행 불편과 독립기념관 미관을 해치고 있다는 의견에 따라 시설물을 교체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의 아름다운 미관을 살리고 통행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2016년 약 151만 명의 입장객이 다녀가는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사고의 조기차단 및 관람객 안전확인을 위해 사각지대에 21구역 77대 고화질 지능형 카메라를 신규 설치하여 입장객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였습니다. 사업실적 사업명 사업내용 사업실적 겨레의 집 리모델링 독립기념관 상징 건물인 겨레의 집을 전시문화복합공간으로 리모델링하여 국민들에게 환원 •공정률(2016.12.31. 기준) : 48% (리모델링 완료 시기 : 17년 8월 말) 건축물ㆍ교량 정밀 안전진단 실시 물리적, 기능적 결함(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적정한 수선방법을 적용하여 내구연한을 증진시킴 •교량 내진평가 용역결과 : B등급(안전) •건축물 구조정밀 진단결과 : B등급(안전) 특화된 분야별 해설서비스 고객 맞춤형 전시관 해설서비스(전문해설사) •2016년 해설인원 : 72,118명 야외해설서비스 (자원봉사자, 문화관광해설사) •2016년 참여인원 : 7,423명 다목적 장소 사용 솔숲쉼터 •이용인원 : 14,260명 독립기념관 청소년야영장 •이용인원 : 68,690명 강당(밝은누리관ㆍ겨레누리관) 등 •이용인원 : 43,793명 합계 •이용인원 : 126,743명 노후 화장실 신축 주요 관람동선 노후 화장실 신축으로 쾌적한 관람환경 조성 •화장실 2개동(주차장 주변) 신축 청소년 야영장 시설 개선 이용자 요구사항 반영 시설보완 •대형장비(캠핑카) 전용 구역 정비, 그늘목 식재, 피크닉장 조성 사업성과 독립119안전센터 신축 경계울타리 공사청소년 야영장 시설 개선맞춤형 해설서비스 지원
29282016 Annual Report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사업소개 계기별 문화행사 개최, 온·오프라인 홍보 강화 등 맞춤형 서비스 구축을 통한 홍보 및 문화사업 활성화로 관람수요 창출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육군본부 업무협약(MOU) 체결 독립기념관은 육군장병들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고취하고자 2016년 5월 26일 육군본부와 상호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대한민국 육군장병들의 방문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습니다.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한 상호교류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독립기념관은 정훈장교 대상 교육프로그램, 전시연계프로그램, 찾아가는 독립기념관(군인편)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육군 장병들이 독립기념관을 방문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2016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60,211명의 육군병사가 독립기념관을 방문하였습니다. 16,853명의 육군장병에 대해 전시연계교육,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등 나라사랑정신 함양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온라인 홍보 독립기념관에서는 홈페이지,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108,089명), 모바일웹 등을 통해 다양한 행사 소식, 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을 통한 역사 콘텐츠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홍보 독립기념관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사업과 행사를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홍보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월간 『독립기념관』은 이달의 주요행사, 한국을 사랑한 이방인, 선열의 발자취를 찾아서, 독자와의 소통 채널 ‘따뜻한 우체통’ 등을 담아 연간 72,000부를 제작하여 전국의 주요 공공기관, 학교, 도서관, 보훈관련단체 등에 무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매년 약 80여 건의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방송ㆍ신문 등의 언론을 통해 약 1,300여 회에 걸쳐 독립기념관의 다양한 활동을 알리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독립기념관의 특성에 맞는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적극 협조하고 직ㆍ간접적으로 노출하여 전 국민에게 독립기념관을 알리고 있습니다. 사업실적 사업명 사업내용 사업실적 사계절 사진공모전 방문객의 친근하고 즐거운 모습과 아름다운 전경 대상 온라인 사진공모전 실시 •총 4회 실시 2,099건 접수 •입상작 : 85건 •온ㆍ오프라인 홍보시 활용 SNS 특별이벤트 실시 계기별 행사 및 독도의날 맞이 특별이벤트 실시 •총 17회 실시 •참여자수 : 14,569명 •당첨자수 : 430명 월간 『독립기념관』 발간 운영 및 사업에 대한 홍보 •연 72,000부 발간 관람유치 우편홍보, 방문홍보, 초청홍보 •부서별 단체 관람유치 : 6,227명 •우편홍보 : 전국 초ㆍ중등학교 및 외국인 관련단체 12,147개소 •방문ㆍ초청홍보 : 연 10회 언론홍보 보도자료 배포, 방송홍보 •보도자료 : 73건 배포 •언론보도실적 : 1,350건 •언론사 촬영협조 : KBS 「뉴스9 야외생방송, 도전골든벨, 생방송 ‘아침’」, MBC 「8뉴스 야외 생방송」 등 문화행사 3ㆍ1절 기념행사, 어린이날 역사체험마당, 광복71주년 경축행사, 가을문화한마당, 상설공연 •연 13회 개최 •광복 71주년 기념 육군 군악·의장대 공연, 공군 블랙이글스 에어쇼 •적십자사 걷기대회 진행 사업성과 육군본부와의 업무협약 체결계기별 문화행사
31302016 Annual Report 제97주년 삼일절 문화행사 및 만세운동 정신계승 재현행사 제 97주년 삼일절을 맞아 만세운동 정신계승 재현행사 및 국가상징물 체험행사 등 전 국민이 참여하는 다양한 기념문화행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광복 71주년 경축 문화행사 광복 71주년을 맞아 광복절 경축식, 경축공연, 국가상징물 체험행사, 나라꽃 무궁화 큰잔치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여 국민에게 광복의 의의와 나라사랑 하는 마음을 상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육·공군과 협업하여 실시한 군악의장대 공연, 블랙이글스 에어쇼는 국민들의 많은 관심과 호응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제11회 가을문화 한마당 10월에는 독립기념관은 빼어난 가을 경치를 배경으로 축제를 개최하였습니다. 온 가족 ‘참여형’ 공연 및 체험행사로 가족단위 관람객이 즐길 수 있는 문화체험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국가상징물 위상제고를 위한 노력 독립기념관에서는 주요 계기에 맞춰 국가상징물을 활용한 행사를 다양하게 실시하였습니다. ‘대형 무궁화나무, 태극기 터널’ 포토존 조성, 국가상징물 체험(태극기 바람개비 만들기, 태극기 퍼즐 맞추기, 무궁화 꽃 머리띠·볼펜 만들기 등)을 운영하여 국가상징물에 대한 위상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날 ‛어린이 체험마당’ 5월에는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주고자 어린이날 기념식을 시작으로 다양한 공연 및 역사체험을 통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였습니다. UCC공모전 및 온라인 사진공모전 UCC공모전 및 온라인 사진공모전을 매년 개최하여 국민들의 호응과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입상작은 유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등 홍보자원으로 활용하여 국내외에 독립기념관을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8회 UCC공모전 시상식 대상 수상팀 제8회 UCC공모전 시상식 단체 사진 사업성과 1. 전시 2. 교육 3. 연구 4. 고객서비스 5. 홍보 제97주년 3ㆍ1 만세운동 정신계승 재현행사 광복 제71주년 경축 문화행사 육군군악의장대 축하공연
경영성과 1. 재무성과2. 인재관리 3. 윤리경영 4. 사회공헌
35342016 Annual Report1. 재무성과 2. 인재관리 3. 윤리경영 4. 사회공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제31기 2016년 12월 31일 현재 •제30기 2015년 12월 31일 현재 •제31기 2016년 12월 31일 현재 •제30기 2015년 12월 31일 현재 과목 제31(당)기 제30(전)기 금액 금액 자산 Ⅰ. 유동자산 5,431 5,451 1. 현금및현금성자산 3,095 3,046 2. 유동금융자산 2,155 2,155 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0 90 4. 재고자산 132 126 5. 당기법인세자산 9 34 6. 유동비금융자산 - - Ⅱ. 비유동자산 36,609 37,893 1. 비유동금융자산 - - 2.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3. 유형자산 34,256 35,382 1) 토지 7,332 7,333 2) 건물 14,504 15,618 3) 기타 12,420 12,431 4. 투자부동산 1,716 1,792 5. 영업권이외의무형자산 487 569 6. 종속기업투자지분 150 150 자 산 총 계 42,040 43,344 부채 Ⅰ. 유동부채 812 714 1.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54 124 2. 당기법인세부채 - - 3. 유동비금융부채 336 278 4. 유동충당부채 322 312 Ⅱ. 비유동부채 3,687 3,477 1.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40 35 2. 비유동비금융부채 - - 3. 종업원급여채무 3,647 3,442 부 채 총 계 4,499 4,191 자본 Ⅰ. 납입자본 95,541 95,541 Ⅱ. 결손금 -58,000 -56,388 자 본 총 계 37,541 39,153 부채와 자본총계 42,040 43,344 과목 제31(당)기 제30(전)기 금액 금액 Ⅰ. 수익(매출액) 20,372 20,547 1.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매출액) 47 52 2.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수익(매출액) 1,795 1,749 3. 이전수입(매출액) 18,508 18,530 4. 기부금수익(매출액) 22 216 Ⅱ. 매출원가 12,141 12,640 1. 재화의 판매로 인한 수익(매출액)에 대한 매출원가 29 24 2. 용역의 제공으로 인한 수익(매출액)에 대한 매출원가 176 171 3. 이전수입(매출액)에 대한 매출원가 11,936 12,445 Ⅲ. 매출총이익(손실) 8,231 7,907 Ⅳ. 판매비와관리비 10,028 9,511 1. 인건비 6,672 6,173 2. 경비 3,356 3,338 Ⅴ. 영업이익(손실) -1,797 -1,604 Ⅵ. 기타수익 - - Ⅶ. 기타비용 34 34 Ⅷ. 기타이익(손실) 26 241 Ⅸ. 금융수익 39 101 Ⅹ.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766 -1,296 ⅩⅠ. 법인세비용 - - ⅩⅡ. 당기순이익(손실) -1,766 -1,296 ⅩⅢ. 기타포괄손익(세후) 154 -149 ⅩⅣ. 총포괄손익 -1,612 -1,445 경영성과 (단위 : 백만원) (단위 : 백만원)
37362016 Annual Report 주요사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배치 직무에 기반한 우수 인재 채용 사회형평적 인력의 채용 차별 없는 복지 전문인력 양성과 평생교육 확대 독립기념관은 주요사업인 전시, 연구, 교육사업 활성화를 위해 핵심 전문인력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우리 민족의 국난극복사에 관한 자료를 보존·전시하기 위한 학예실,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센터, 한국독립운동의 역사를 알리기 위한 국내 유일의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인적자원개발을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업무능력 향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공통역량, 직무역량, 관리역량 개발 등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원의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교육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소통과 협력의 노사관계로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 독립기념관은 노동조합을 동반자로 인식하고 선진화된 노사관계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노사협의회, 경영개선노사위원회 등 노사협의체를 통하여 기관의 현안과제를 함께 고민하며 해결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은 노사합의를 통해 성과연봉제를 확대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가족친화경영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직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여 정부로부터 가족친화 우수기관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독립기념관이 원하는 인재상은 국민에게 봉사하는 마음과 사명감을 가지고 직무에 충실하며 창의력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입니다. 이에 공정하고 합리적인 채용절차를 준수하여, 채용과정에서 학력ㆍ성별ㆍ지역ㆍ연령에 대한 차별 없이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한국독립운동 전공 전문 연구원, 전시기획 학예사 등 14명을 채용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장애인, 취업지원대상자 및 여성, 지역인재 등 사회형평적 인력 채용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성별, 직종은 물론 고용형태(정규직, 무기계약직, 비정규직)에 따른 복리후생의 차별없이 모두에게 동일한 혜택을 보장하여 직원의 복지 증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대상 정부기준 운영내용 장애인 3% 3.05% 취업지원대상자 6% 6% 연도 2014년 2015년 2016년 시간 35.8 38.1 41.1 예산(원) 648,000 723,000 918,000 1인당 교육 경영성과 2016년 노사워크숍 성과연봉제 확대 협약식 행복한일터만들기 가족친화인증서 1. 재무성과 2. 인재관리 3. 윤리경영 4. 사회공헌
39382016 Annual Report 청렴ㆍ윤리경영 체계 수립 청렴ㆍ윤리경영 활동 청렴ㆍ윤리경영 교육 청렴문화 확산 독립기념관은 기관장의 강한 청렴의지에 따라 윤리경영 실행력 제고를 위한 조직 및 시스템 개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한편, 신뢰를 기반으로 투명경영을 경영의 최우선 가치로 고려하여 이를 문화로 내재화하기 위한 청렴문화를 확산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청렴문화를 선도하는 1등급 기관 달성을 목표로 윤리실천 프로세스 정립, 윤리경영 인프라 구축, 윤리실천 강화 등 3개 추진목표와 11개 추진과제를 설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윤리 준수 행동지침을 통해 윤리적 의사결정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윤리헌장, 임직원 행동강령과 더불어 인사규정에 징계양정기준을 강화하는 등 윤리규범을 재정비하고 특히, 부패행위 신고 접수ㆍ처리 및 신고자 보호 등에 관한 운영지침을 제정하여 부패행위 신고자의 신분비밀보장과 신분상의 불이익 등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깨끗하고 투명한 클린 독립기념관 구현을 위하여 청렴방송, 기관장 청렴서한문 발송(계약업체 대상), 청렴낱말 맞추기, 클린독립상 시상, 윤리경영 QR코드 제작, 청탁등록방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렴서약서와 반부패 청렴서약서를 작성하여 윤리경영 실천의지를 지속적으로 다지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연초 임직원 워크숍을 통해 소통과 화합의 장을 마련하고 청렴의지를 다짐하였으며, 노동조합원들의 미래지향적인 노동문화 창출과 청렴실천을 다짐하는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청렴ㆍ윤리경영에 대한 직원들의 공감대를 확산하고 조직문화 구축을 위해 실제사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 초빙 청렴교육 및 온라인 교육을 매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청렴문화 형성을 위하여 반부패 청렴실천 결의대회 개최, 노사공동 청렴실천 선언문 체결, 청렴문화 확산 캠페인운동 전개 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주관하는 2016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측정에서 1등급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앞으로도 올바른 윤리경영을 통해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국민 교육기관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자 창의적 사고와 청렴정신으로 윤리경영을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청렴ㆍ 윤리경영 시스템 투명경영과 열린경영을 통해 신뢰받는 국민교육 기관 윤리경영 비전 윤리실천 프로세스 정립 윤리경영 인프라 구축 윤리실천 강화 추진목표 추진과제 •강력한 기관장 리더십 발휘 •윤리실천 프로그램 개발 •지속적인 청렴도 향상 추진 •투명경영 활동 확대 •윤리교육 활성화 •윤리규범의 실효성 제고 •윤리실천 모니터링 내실화 •윤리경영 평가시스템 개선 •자체 점검활동 강화 •취약분야 중점관리 •환류활동 강화 청렴문화 선도하는 1등급 기관 달성 윤리경영 목표 경영성과 청렴실천 결의대회 1. 재무성과 2. 인재관리 3. 윤리경영 4. 사회공헌
41402016 Annual Report 기관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기부활동 함께하는 사회공헌활동국가유공자 후손 가족을 위한 나라사랑교육 기부 국가유공자 및 독립운동가 후손 가족을 대상으로 일제침략과정, 독도의 역사ㆍ자연ㆍ지킴이 활동 등 나라사랑 가족캠프를 실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나라사랑정신 함양 및 자긍심 고취의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독립운동가 후손을 위한 나라사랑교육 참가비 기부 2016년 현충시설 체험박람회 나라사랑 체험활동 참가비 전액을 독립운동가 후손에게 전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애국심을 고취하고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였습니다. 소장전시물 기증ㆍ대여를 통한 나라사랑전시 역량 기부 전시기획인력이 없거나 예산이 부족한 국내ㆍ외 기관에 대하여 전시물을 기증(베트남 호치민시국제학교)ㆍ대여(순회전시 35회)하였습니다. 나라사랑 실천을 위한 나눔 기부활동 관람객대상 ‘사랑의 동전 모으기 운동’, 임직원대상 ‘급여 자투리 모금 활동’으로 조성된 성금을 위안부 할머니(나눔의 집) 및 생존 독립운동가에게 전달함으로써 나라사랑정신 실천 및 따뜻한 사회구현에 기여하였습니다. 지방자치단체와 함께하는 문화 나눔활동 충청남도, 천안시 등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이 실시하는 역사문화축제, 댄스페스티벌, 사회복지축제 등 문화 나눔활동을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지역사회와 유대관계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나눔활동 사랑과 평화의 집, 신아원, 꿈샘지역아동센터 등 사회복지시설 위문ㆍ봉사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따뜻한 나눔의 정신을 실현하였습니다. 경영성과 함께하는 사회공헌활동 순회전시물 대여 나라사랑교육 재능기부 1. 재무성과 2. 인재관리 3. 윤리경영 4. 사회공헌
31232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www.i815.or.kr Tel. 041 560 0114 발행인 총괄 기획 및 진행 집필 및 검토 윤주경 조종문 주성진, 신선미 고명재, 문진수, 신충석, 왕대현, 옥주연, 이경원, 이재호, 임공재, 조은숙, 주계운
20 16 독 립 기 념 관 연 차 보 고 서 TH E IN D EPEN D EN C E H A LL O F K O R 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