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2012 ANNUAL REPORT
자주와 독립의 정신으로 지켜온, 겨레의 살아 숨쉬는 얼과 마주할 수 있는 곳! 외세의 침략에 굴하지 않고 자주의 횃불을 밝힌, 한국의 빛을 만날 수 있는 곳! 독립기념관은 ‘겨레의 얼’과 ‘한국의 빛’이 살아 있는 뜨거운 역사의 현장입니다.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자긍심을 느끼며 체험할 수 있도록 독립기념관은 국민 모두에게 문을 활짝 열어놓고 있습니다. 04 06 08 10 14 18 22 28 34 36 38 40 CONTENTS 일반현황 독립기념관장 Message 연혁 기관현황 경영목표 및 주요성과 사업성과 전시 교육 연구 서비스 지속가능 경영성과 환경분야 나눔분야 인재관리분야 윤리경영분야 재무성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03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02 독립기념관은 우리의 민족혼과 대자연의 풍광이 어우러진 겨레의 전당입니다. 외세의 침략에도 꿋꿋하게 독립의 의지와 자주의 정신을 지켜온 선열들의 빛나는 역사를 기리고자 설립되었으며, 2006년부터 대대적인 활성화 사업을 벌여서 모든 전시관을 최첨단의 생동감 넘치는 전시물들로 교체하였습니다. 기적을 만들어낸 민족의 자랑스러운 정신이 살아 숨쉬고 있는 독립기념관에서 수많은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우리 겨레의 희망찬 내일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05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04 독립기념관장 Message 독립기념관장 김 능 진 독립기념관은 겨레의 얼이 살아 숨쉬는 기관입니다. 지난 25년간 국민의 뜨거운 사랑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의 독립기념관이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정신을 북돋우며 올바른 국가관 확립을 위해서 전시, 연구, 교육, 자료 수집 · 관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기관 최초로 중국과의 국제 교류전시를 개최하였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원 공개 · 일본정부가 제작한 독도지도 공개 등 역사적 이슈가 되는 해외 독립운동 자료를 수집하여 공개하였습니다. 또한 독립군 체험학교 · 독립기념관 학교속으로 등 국내 유일의 독립군 체험 교육을 운영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종합서비스 센터 · 장애인편의 시설 등 원스톱 고객지원시설 확충과 저학년 · 군경 해설서비스 개발로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주요 사업 성과 이외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생태복원 · 에너지 절약 노력 등 환경분야와 임직원의 자발적인 나눔활동, 윤리활동 등 지속가능경영분야의 다양한 노력을 하였습니다. 앞으로 독립기념관에서는 상설전시관 전시교체, 독도학교 개교, 다목적 체험교육관 신축 등 국민들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한 시설 인프라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또한 한국 근현대사 중심연구기관인 한국독립 운동사 연구소는 국내외 다양한 학술 · 연구 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펼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동안 독립기념관에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의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저희 임직원 일동은 창의적인 혁신 활동으로 국민에게 사랑받는 독립기념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독립기념관은 겨레의 얼을 세우고, 대한민국의 빛을 밝히겠습니다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07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06 1982. 08. 28 건립 발기대회 1982. 08. 31 성금모금 착수 1982. 10. 05 건립추진위원회 설립 1983. 08. 15 기공식 (토목공사 착공) 1986. 05. 09 독립기념관법 공포시행 (법률 제3820호) 1986. 08. 20 독립기념관 법인 설립 1987. 02. 10 독립운동사연구소 설립 1987. 08. 15 독립기념관 준공 및 개관 1993. 04. 13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복원 1995. 08. 15 통일염원의 동산 준공 1997. 08. 15 독립기념관 개관 10주년 1998. 08. 11 구 조선총독부 부재공원 조성 2000. 04. 05 새천년상징 밀레니엄 숲 조성 2001. 04. 28 3,000만번째 관람객 입장 2004. 07. 06 1차 전시교체사업 완료 2005. 05. 18 소관부처 이관 (문화관광부→국가보훈처) 2010. 08. 11 4,000만번째 관람객 입장 2010. 08. 12 기증자료전시관 개관 2010. 09. 07 으뜸 관광명소 선정 2010. 10. 20 2차 전시교체사업 완료 2011. 10. 22 현충시설 체험박람회 개최 2009. 09. 10 국가생산성대상 노사협력특별상 수상 2009. 11. 26 한국서비스품질 우수기관 인증 2007. 08. 15 독립기념관 개관 20주년 2007. 11. 13 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 인증 2008. 01. 01 독립기념관 무료관람 시행 (법률 제8536호) 2008. 08. 11 독립군체험학교 개관 2008. 10. 07 밝은누리관(교육관) 개관 2008. 10. 10 4D 입체영상관 개관 HISTORY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09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08 기관현황 독립기념관은 외침을 극복하고 민족의 자주와 독립을 지켜 온 우리 민족의 국난 극복사와 국가 발전사에 관한 자료를 수집 · 보존 · 전시 · 조사 · 연구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민의 투철한 민족정신을 붇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설립일자 1986년 8월 20일 기관장 김능진 (2011. 8. 1 ~ 2014. 7. 31) 법적 근거 독립기념관법 (법률 제2820호) 이사회 이사장 김능진 이사 상임 1명, 비상임 14명 설립목적 독립기념관은 2실 4부 1연구소 1교육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원은 83명(임원 1, 직원 82명)입니다. 현재 정규직 81명, 계약직 27명, 인턴직원 2명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자료의 수집 · 보존 · 관리 및 전시 자료의 조사 · 연구 민족정신을 선양하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기 위한 국민교육 시설의 관리 및 확충 자료의 홍보 및 간행물 제작 · 배포 운영재원 조달 사업 관 장 감 사 감사부 사무처 연구소 기획조정실 학예실 교육센터 홍보문화부 고객지원부 경영관리부 이사회 부지 및 건축물 독립기념관은 충남 천안시 3,339,264m2(117만평)의 부지에 위치해 있습니다. 겨레의 집과 상징건축물, 전시관, 입체영상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시설물 및 자료현황 구 분 전시주제 전시물(점) 겨레의 뿌리 (제1관) • 민족의 뿌리와 자랑스런 우리문화 • 불굴의 의지와 대외항쟁 250 겨레의 시련 (제2관) • 개항기 ~ 국권상실 • 일제침략상 284 나라지키기 (제3관) • 의병전쟁 • 애국계몽운동 76 겨례의 함성 (제4관) • 31 운동 108 나라되찾기 (제5관) • 독립전쟁 • 의열투쟁 • 해외무장투쟁 187 새나라세우기 (제6관) • 민족문화수호운동 • 대한민국임시정부 149 함께하는 독립운동 (제7관) • 독립운동 체험전시 • 특별기획전시 - 입체영상관 • 4D입체영상 4 소장자료 구분 전적류 문서류 문화 예술 종교류 생활류 군장류 산업 생업류 과학 기술류 동영상류 사진 필름류 계 수량 17,578 42,359 965 2,416 598 2,013 2,880 622 23,196 92,627 경영현황 사업영역 조직현황 • 보물 : 이광악 공신교서 (1986.6.16 지적, 보물 952호) 1점 • 등록문화재 : 김구 서명 태극기 (2008.8.12 지정) 등 32점 • 국가지정기록물 : 조선말큰사전 편찬 원고 (2008.11.3 지정) 등 5점 (단위 : 점)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11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10 경영목표 • 자료기증 및 공동 자료수집을 통한 국내외 자료수집 활성화 · 미국 : LA 대한인국민회 소장자료, 캘리포니아 서대숙 소장자료 등 1만여 매 · 중국 : 임시정부에 보낸 중국은행 송금표 등 등 55점 · 국내 : 태허 유상규 선생 친필원고 등 621점 • 수집된 자료에 대한 전국민 관심 집중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원 공개 (8/14) : KBS 등 주요 언론방송 · 일본정부가 제작한 독도지도 공개 (8/29) : KBS, 조선일보 등 언론 방송 역사적 이슈가 되는 해외 독립운동 자료 수집 • 독립군의 삶을 주제로 한 독립기념관만의 특화된 체험 교육 프로그램 · 독립군 체험학교 : 일상생활을 통해 독립군 삶과 정신 학습 (62회, 1995명) · 독립기념관 학교속으로 : 일선 학교에 직접 방문 교육 (16회, 380명) · 독립기념관에서 쿨쿨 : 방학 중 1박 2일 교육 (1회, 27명) • 교육 참가자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여 만족도 향상 국내 유일의 독립군 체험 교육 운영 • 원스톱 고객지원 시설 확충 · 종합서비스센터 : 안내, 편의장비 대여, 휴게시설 등의 서비스를 한번에 이용 가능 •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한 시설 보완 · 장애인편의시설 및 친환경 도로 확장 : 점자블록 설치, 자전거 도로 연장 · 인솔자 쉼터 조성 : 단체관람 정보제공 및 인솔자 업무처리 가능 차별적 서비스 체계 구축 고객맞춤형 해설서비스 제공으로 특화된 대표서비스 개발 · 저학년 해설프로그램 : 유치원생~초등학교 저학년 해설 가능 ※ 기존해설 :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 · 군경 해설프로그램 : 군인·경찰 맞춤형 해설 제공 • 저학년 해설프로그램 개발로 전 연령대 해설이 가능 • 대상 맞춤형 해설서비스로 해설 참여자 증가 고객맞춤형 서비스 제공 어린이 독립군체험학교 만족도 (5점 척도) 4.64점 4.58점 2012 2011 독립기념관 학교속으로 만족도 (5점 척도) 4.74점 4.66점 2012 2011 군인해설 참가자 11,120명 5,785명 2012 2011 저학년 해설 참가자 (신규) 2,032명 0명 2012 2011 주요성과 • 한국과 중국 동시에 같은 주제(항일전쟁)로 교류 전시 개최 · 한국 독립기념관(8/10~9/25, 중국 베이징) : 중국에서의 한인 항일 무장 투쟁 · 중국 인민항전기념관(8/15~9/30, 한국 천안) : 중국의 항일전쟁 • 다양한 전시 주제 개발과 문화외교로 한중관계 발전에 이바지 • 독립기념관 방문 관람객 증대 및 대외 홍보 확대 기관 최초 국제 교류전시 개최 전년 동기간 대비 관람객 222,016명 180,740명 2012 2011 국내외 보도 횟수 국내외 62회 국내외 32회 2012 2011 MISSION 민족문화의 정체성 확립 • 민족정신 선양 • 올바른 국가관 정립 VISION 국민이 즐겨찾는 나라사랑정신 함양의 중심기관 전략목표 전략과제 핵심가치 고객가치 창출 조용한 혁신 나라사랑정신 함양 • 전시사업 활성화 • 교육사업 기능 강화 • 연구사업 확대 핵심사업 활성화 • 서비스 품질 향상 • 관람환경 인프라 개선 열린 문화공간 창조 • 기관 경쟁력 강화 • 경영관리시스템 고도화 지속가능경영 확립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13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12 사업성과 어제를 간직한 오늘은 내일의 희망이 됩니다. 우리 민족의 어제는 너무나 뜨거운 의지의 역사였음을 알기에 강인한 자주 정신으로 지켜온 위대한 오늘임을 알기에 독립기념관은 오늘도 꺼지지 않는 겨레의 얼을 지켜내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독립의 혼을 살려내는 전시활동부터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자주독립의 가치를 전하기 위한 교육활동, 한국독립운동사의 대중화와 국제화를 위한 학술연구 활동 등 겨레의 얼을 널리 알리는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겨레의 얼을 담다 동포에게 고함 내가 한국독립을 회복하고 동양평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삼년 동안을 해외에서 풍찬노숙하다가 마침내 그 목적을 도달치 못하고 이곳에서 죽노니 우리들 이천만 형제자매는각각 스스로 분발하여 학문을 힘쓰고 실업을 진흥하며 나의 끼친 뜻을 이어 자유독립을 회복하면 죽는 자 유한이 없겠노라 대한제국의군참모중장 안 중 근 전시 교육 연구 서비스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15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14 사업실적 사업명 전시명 및 사업내용 전시기간 이달의 독립운동가 이 갑, 김석진, 홍원식, 김대지, 지복영, 김법린, 여 준, 이만도, 김동수, 이희승, 이석용, 현정건 매월 1일 ~ 말일 특별기획전 윤봉길의사 의거 8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4. 27 ~ 6. 10 3·1운동 제93주년 기념 특별기획사진전 ‘3·1 독립운동, 그 역사의 현장’ 3. 1 ~ 8. 13 개관25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독립기념관 25주년을 돌아보는 사진전’ 8. 14 ~ 10. 15 조선소년군·소년척후단 창설 90주년 기념 기증자료 특별기획전 ‘소년이여, 준비하라! 독립과 미래를 위하여’ 10. 18 ~ 12. 31 소장자료사진집 발간기념 특별기획전 ‘한 장의 추억 - 근대에서 온 엽서’ 11. 20 ~ 12. 31 국제교류전 한중수교20주년 기념 국제교류전 ‘중국에서의 한인 항일무장투쟁’ (중국 북경) 8. 10 ~ 9. 25 한중수교20주년 기념 국제교류전 ‘중국의 항일전쟁(1931~1945)’ (독립기념관) 8. 15 ~ 9. 30 순회전 순회전시물 대여를 통한 유관기관 지원 연중 제6·7관 부분 전시교체 제6·7관 대한민국정부수립 관련 부분 전시교체 8. 10 완료 제7관 체험아이템 개발 독립극장 ‘윤봉길의사 이야기’ 체험아이템 개발 12. 20 완료 입체영상콘텐츠 개발 코리아 익스프레스 2013년 개봉 다양한 계기에 따른 특별기획전 개최 2012년 한해 독립기념관에서는 ‘윤봉길의사 의거 8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조선소년군 창설 90주년 기념 기증자료 특별기획전’, ‘3·1운동 제93주년 기념 특별기획사진전’ 등 다양한 계기 특별 기획전을 개최하여 애국선열들의 나라사랑 정신을 널리 알려 국민들의 애국심 고취를 위해 노력 하였습니다. 아울러 전시공간 다변화를 통해 더 많은 국민들에게 전시관람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전시의 온라인 서비스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달 이달의 독립운동가를 선정하여 기획전시를 개최하고 독립운동가의 후손분들을 초청하여 애국선열의 업적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재미있게 구성된 다양한 주제의 순회전시물을 유관기관에 대여해 순회 전시를 개최하고, 독립기념관을 방문하기 어려운 국내외 지역을 찾아가 독립기념관의 전시를 보여 주는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전시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별 기획전시 사업소개 독립기념관은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정신을 복돋우며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하기 위해 지속적인 상설전시관 교체사업과 기획전시 콘텐츠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올바른 역사를 알리고 국민의 애국심 고취를 위한 다양한 특별기획전을 개최하고 아울러 세계 각국의 유관기관들과의 교류를 통해 전시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해 나가겠습니다. EXHIBITION전시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17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16 전 시 지속적 신규 콘텐츠 개발을 통한 재방문 유도 및 운영활성화 독립기념관은 변화하는 전시환경에 발맞추어 7개 상설전시관의 전시콘텐츠 및 체험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신규 개발·보완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제6전시관(새나라세우기)의 대한민국 정부수립 및 대한민국 발전상을 전시하는 공간을 신설·보완함으로써 독립운동의 결과가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발전의 근간이 되었음을 알리고 우리민족의 미래발전상을 제시하여 올바른 국가의식 확립과 나라사랑정신 고취에 기여하고자 하였습니다. 제7전시관(체험전시관)에는 윤봉길 의거 80주년 계기에 맞추어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구성한 [윤봉길의사의 생애와 독립운동] 인형극과 체험퀴즈를 신규 설치하여 기존 안중근 인형극과 호환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상설전시관 신규콘텐츠 개발 및 보완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국제교류전 한중수교 20주년을 기념해 중국 인민항일전쟁기념관과 국제교류전을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국제 교류전은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투쟁한 사실을 전시하고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항일 기념관이 1945년 광복 이후 최초로 실시하는 국제교류전이어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에서 ‘중국에서의 한인 항일무장투쟁’ 이라는 주제로 국권상실 후 중국에서 전개된 항일무장투쟁과 한중 공동의 항일운동에 대해 전시 하였습니다. 동시에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은 독립기념관 특별기획전시실에서 ‘중국의 항일전쟁:1931~1945’ 라는 제목으로 일제에 맞서 중국인들이 전개한 항일투쟁과정을 전시하였습니다. 이번 국제교류전을 통해 독립운동의 주요 무대가 된 중국과의 지속적인 교류와 우호증진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국제교류 전시 제4차 입체영상콘텐츠 개발 2010년 이후 매년 1편씩 새롭게 입체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2012년에 개발 중인 입체 영상콘텐츠 ‘코리아 익스프레스’는 근현대사에 관심이 없던 소년이 기차를 타고 시간여행을 하면서 대한민국의 탄생과 시련, 발전 그리고 세계 속의 대한민국으로 성장한 과정을 경험하며 우리나라의 역사에 새롭게 눈뜨게 되는 이야기를 아름답고 감동적인 뮤지컬로 연출하였습니다. ‘코리아 익스프레스’는 독립기념관 내에 위치한 4D 입체영상관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입체영상 콘텐츠 개발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19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18 독립기념관은 어린이·청소년, 성인, 외국인 등을 대상으로 국난극복 및 독립운동사를 주제로 한 박물관 교육, 역사연수, 유적지 답사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나라사랑 정신함양을 위해 보다 많은 국민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을 제공하겠습니다. 교육대상 사업명 기간 인원 회수 어린이 청소년 교육 (개인) 어린이 토요역사체험 1 ~ 4월, 7 ~ 10월 270 8 독립기념관 어린이학교 10 ~ 11월 8주간 토 31 1 관람객 특별기획전시 연계교육 7 ~ 8월 4,663 1 대학생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 7월 34 1 어린이 청소년 교육 (단체) 학교 단체 체험활동 지원사업 4 ~ 12월 2,179 42 초등학교 학급 국가상징 체험활동 3 ~ 11월 1,544 40 초등학교 학급 어린이 독립군체험학교 1 ~ 11월 1,995 62 청소년 단체 독립군체험캠프 4 ~ 6월 1,287 8 독립기념관 아웃도어 프로그램 4 ~ 10월 402 1 호국정신함양을 위한 현충시설탐방 4 ~ 9월 878 13 초등학교 학급 학교연계교육(out-reach 프로그램) 4월, 10월 380 11 소외교육 소외지역학교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국내편 : 화순, 강화, 부산, 진주) 4 ~ 11월, 각 3일 3,152 4 해외 한국학교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해외편 : 중국 북경) 6월 (3일) 699 1 성인교육 교원 교원직무연수 1월, 7 ~ 8월 115 3 교원 우수교사 해외독립운동 사적지 탐방 8월 26 1 공무원, 기업임직원 Good Leader 역사교육 2 ~ 12월 2,669 14 문화관광 해설사 현충시설 안내해설사 교육 3월, 11월 108 3 재외동포 외국인교육 재외동포 재외동포 독립기념관 탐방 7월 73 2 외국인 외국인 독립기념관 탐방 1 ~ 12월 399 13 공모대회 어린이, 청소년 제25회 독립기념관 관람감상문 모집 공모 : 4 ~ 11월 시상식 : 12월 456 1 제15회 나라사랑 전국학생사생대회 대회 : 6월 시상식 : 7월 605 1 국가상징 글짓기 그림그리기 10월 3,704 1 기타 현충시설 현충시설 교육 협력망 구축사업 1 ~ 12월 계 25,669 232 사업소개 사업실적 올바른 역사의식을 지닌 어린이 · 청소년 리더 양성 상설전시관을 활용한 박물관교육으로 ‘토요역사체험’에서는 “이순신장군과 거북선” 등 4개 주제, ‘독립기념관 어린이학교’에서는 “3·1독립만세운동 이야기” 등 6개 주제로 사업을 실시했습니다. ‘전시연계교육’은 2012년부터는 매해 여름방학 기간 중에 실시하기로 하고, 나라되찾기관(5전시관) 을 활용하여 “독립군은 어떤 분들인가요?” 프로그램을 운영했습니다. 중국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 유적지를 현장답사하는 ‘대학생 독립운동 사적지 탐방’은 참가 대학을 늘려 충남지역 5개 대학 학생이 참가했습니다. 어린이 청소년 교육 (개인) 전시관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교육 실시 학기 중 학교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은 3종의 사업을 실시했습니다. ‘체험활동 지원사업-독립기념관에서 놀자’에서는 상설전시관(2~6관)의 전시물을 참가자의 행동 유형에 따라 4종의 체험활동지로 살펴보는 “나와 닮은 독립운동가는?”과 야외 체험장에서 독립군의 훈련·전투·승리를 체험해보는 “독립군처럼~”을 운영했습니다. ‘국가상징 체험활동’은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현재의 태극기의 의미를 이해하고 전시관에서 독립운동사 속의 태극기를 살펴보는 “우리우리 태극기”를 운영했습니다. 전시관과 독립군체험학교 시설을 활용하여 독립군의 활동과 정신을 체험하는 ‘독립군체험학교’ 프로그램에서는 “어린이 독립군체험학교”와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청소년독립군체험캠프”를 운영 했습니다. 어린이 청소년 교육 (단체) EDUCATION교육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21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20 교 육 한국의 역사와 정신을 전달하여 타문화에 대한 이해 도모 ‘외국인 독립기념관 탐방’ 프로그램인 “Enjoy! Korean Spirit"에서는 일본의 호센대학, 리츠메이칸 대학 학생들과 구마모토 시민단체 회원 등 한일 근현대사에 관심 있는 일본인들을 비롯하여, 인근 대학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중국, 미국, 러시아,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등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미국 실리콘벨리 한국학교의 협조로 진행하는 ”재외동포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독립기념관 탐방“은 2차에 걸쳐 실시하였습니다. 재외동포 외국인 교육 방문 교육을 통한 적극적 교육수요자 창출 ‘찾아가는 독립기념관’ 사업은 물리적 · 시간적 제약으로 독립기념관 방문이 어려운 지역을 방문하여, 학생과 주민들에게 독립기념관을 소개하고 독립운동사 전시와 체험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윤봉길의거 80주년을 기념하여 “윤봉길 의사의 독립운동 이야기”를 주제로 화순, 강화, 부산, 진주를 방문했고, 국외에서는 “중국에서 활동한 우리 독립운동가들”을 주제로 중국 북경한국 국제학교를 방문하여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소외교육 다양한 주제의 독립운동사 커리큘럼으로 교육 현장의 파급 효과 제고 교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인 ‘교원직무연수’는 겨울방학에는 “일반과정-한국 독립운동사의 이해” (5일)와 윤봉길의거 80주년을 기념한 “심화과정-일본제국주의와 의열투쟁”(10일)을 주제로, 여름 방학에는 한중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심화과정-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와 중국”(5일)을 주제로 실시했습니다. 현충시설 관계자와 문화관광해설사를 대상으로 하는 ‘현충시설 안내해설사 교육’은 2년 주기 4개 교육과정 중 1과정 1회, 2과정 2회를 운영하였습니다. 그 밖에 우수 교원연수 교사를 대상으로 일본 대마도 지역을 현장답사하는 특별프로그램으로 ‘우수교사 해외독립운동사적지 탐방’을 운영했습니다. 성인교육 현충시설 동반 성장 도모와 교육 활성화의 계기 마련 ‘현충시설 교육 협력망 사업’은 독립기념관이 중심이 되어 전국 독립운동 기념관을 비롯한 현충 시설의 교육 콘텐츠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현충시설 간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협력망을 형성하여, ‘현충시설 체험 박람회’, ‘현충시설 연계 교육프로그램 운영’, ‘현충시설 전시관람 책자 발간’ 등을 실시합니다. 올해 체험박람회에는 “전국의 기념관, 하나의 독립운동”을 주제로 전국에서 17곳의 독립운동 기념관이 참여하였고, 연계 교육프로그램에는 3곳의 기념관이 참여하였습니다. 전시관람 책자로는 왕산허위기념관, 최용신기념관, 제주항일기념관 등 3곳의 전시관 체험활동지를 제작하였습니다. 현충시설 교육협력망 사업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23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22 역사자료의 수집과 분석, 독립운동사의 연구 및 발간, 학술심포지엄, 국내외 사적지조사사업 등을 통해 다양한 학술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독립운동사연구의 중추기관으로 학술 연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입니다. 사업소개 사업실적 사업명 일자 실적 주요내용 한국 독립운동의 대중화와 국제화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발간 2012. 11 1,000부 • 외국인을 위한 독립운동사 한글본 발간 독립운동가열전 발간 2012. 12 7명 • 독립운동가 남궁억, 최익현, 김도현, 박은식, 김중건, 장도빈, 이대위 열전 「세계인의 독도의 진실 이해를 위한 16포인트」 발간 2012. 7. 12 일어판 영어판 (각 1,000부) • 독도 영유와 관련한 역사의 진실을 전 세계로 홍보 학술 심포지엄 계기 학술회의 3. 27, 10. 10, 10. 29, 12.10 4회 • 윤세주열사 순국 70주년 기념 • 이봉창, 윤봉길의거 80주년 기념 • 한국스카우트운동 90주년 기념 광복 67주년, 개관 25주년 기념 정기학술회의 2012. 8. 7 1회 • 한국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지역 및 역사교육 학술회의 10. 15, 11. 23 2회 • 천안지역 항일 독립운동의 재조명 • 동아시아 삼국중등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자료수집 및 희귀자료 공개 자료수집 2012. 1 ~ 12 9,220점 • 국내외 자료수집 희귀자료 언론공개 2012. 3 ~ 10 4회 • 미국 3·1운동 사진 및 영상 • 화이팅 선교사 문건 • 애국가 음반 • 독도영유권 지리도서 연구 논문집 및 자료총서 발간 2012. 1 ~ 12 6권 • 연구논문집 :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 자료총서 : 「독립운동가의 삶과 회상」 등 국외사적지 조사사업 2012. 1 ~ 12 중국 • 국외사적지 실태조사 및 심화조사 • 국외사적지 현지 관리기관 운영 • 국외 복원 사적지 안내원 초청 교육 • 복원사적지 전시보완 및 보수지원 국내사적지 조사사업 2012. 1 ~ 12 서울 등 • 표지물 설치 • 사적지 활용 역사교육자료 개발 • 나라사랑 역사의 길 개발 추진 • 사적지 및 현충시설 QR코드 부착 등 한글판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편찬 국제화시대에 맞추어 한국독립운동사에 대한 외국어판 발간의 필요성은 크게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해외 동포 2세들의 한국독립운동사에 대한 이해 증진과 국내외 에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독립운동사 강의용 교재의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한글판을 처음으로 발행하였습니다. 이를 토대로 곧이어 영어, 일어, 중국어 등 외국어판을 발행하여 한국독립운동사에 담긴 독립정신과 자유· 평화·인도의 정신을 전 세계에 알리고 국제사회에 우호적인 대한민국상을 정립 하는데 기여해 나갈 것입니다. 독립운동가 열전 발간 독립운동가 100인 열전 완간을 목표로 2006년부터 추진해 오고 있는 사업입니다. 독립운동가의 생애를 알기 쉽게 서술해 청소년을 비롯한 일반인들에게 독립운동사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그동안 42명의 독립운동가 열전이 발간되었고 올해는 남궁억, 최익현, 김도현, 박은식, 김중건, 장도빈, 이대위 등 7명의 독립운동가 열전을 발간 하였습니다. 「세계인의 독도의 진실 이해를 위한 16포인트」 발간 신용하 저, 「독도 영유의 진실 이해」를 바탕으로 독도 영유와 관련한 역사의 진실을 전 세계로 알리기 위해 발행하였습니다. 발간된 영문과 일문 책자는 국내외 주요 기관과 관계자들에게 배포하였습니다. 한국 독립운동사의 대중화와 국제화 RESEARCH & STUDY연구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25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24 연 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는 매년 정기 및 계기 학술회의를 개최해 연구성과를 공개하고 있으며 진지한 토론을 통해 학계의 독립운동사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2012년 학술회의는 다음과 같이 개최되었습니다. 구분 기간 장소 내용 한중수교 20주년기념 한국독립운동 학술회의 2012. 3. 27 중국 광저우 (중산대학) • 중국 광저우지역 한국독립운동 광복 67주년기념 및 개관 25주년 기념 정기학술회의 2012. 8. 7 백범기념관 • 한국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석정 윤세주열사 순국 70주년기념 중국 9·18역사박물관과의 공동학술회의 2012. 10. 10 중국 심양 9·18역사박물관 • 조선의용대와 한중공동항일투쟁 이봉창, 윤봉길의사 의거 80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 2012. 10. 29 백범기념관 • 한국독립운동과 의열투쟁 충남대 충청문화연구소와의 공동학술심포지엄 2012. 10. 15 독립기념관 밝은누리관 • 천안지역 항일 독립운동의 재조명 동아시아 중등역사교육 발전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2. 11. 23 독립기념관 밝은누리관 • 동아시아 삼국 중등 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스카우트연맹과의 공동 학술심포지엄 2012. 12. 10 국회도서관 • 한국독립운동과 소년운동 대내외 학술행사 개최 자료수집은 국내외의 자료소장가(처)들을 발굴하거나 소장 자료의 기증을 최대한 유도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유럽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지역에 산재한 미발굴 독립운동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수집을 병행해 새로운 자료를 계속 발굴해 나가고 있습니다. 2012년 자료수집은 기증자료 7,519점, 구입자료 1,701점으로 총 9,220점입니다. 자료수집 수집 자료 중 특별히 희귀자료를 선별, 언론에 공개함으로써 학계를 비롯해 일반 시민들에게 독립 운동 자료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하는데 기여하였습니다. 미국 다뉴바에서 개최된 3·1운동 제1주년 기념행사 자료 3·1운동 83주년을 맞이하여, 1920년 3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다뉴바에서 거행된 3·1운동 제1주년 기념행사를 찍은 대형 사진(87.3 x 22.8 cm)과 행사 내용을 담은 영상자료를 처음으로 언론에 공개하였습니다. 대형 사진은 3·1절 기념행사를 거행한 후 참석자들이 다뉴바한인교회 앞에서 찍은 것입니다. 3·1운동의 실상을 선전한 화이팅(Harry C. Whiting 선교사의 「호소문」 화이팅(1865-1945)은 1903년 11월 24일 내한하여 미국 북장로회 소속으로 평양선교부에서 의료선교활동을 하고 1920년 9월 미국으로 돌아간 의료선교사입니다. 미국으로 돌아간 그는 한국 에서 일어난 3·1운동의 진상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데 경악하여 본격적인 대중강연을 실시 하였습니다. 공개한 자료는 파이팅 선교사가 1921년 말까지 미국 전역에 걸쳐 266회의 순회 강연을 할 때 사용한 자료입니다. 외국인의 신분으로 한국독립운동을 열성적으로 도운 상징적인 희귀자료입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애국가 음반’ 최초로 공개 광복 67주년을 맞이하여 1942년 8월 미주 동포들이 제작한 ‘애국가’ 2종과 ‘무궁화가’를 수록한 애국가 음반을 공개하였습니다. ‘애국가’ 2종 가운데 1종은 안익태 작곡의 현행 ‘애국가’ 곡조이며, 나머지 1종은 ‘구애국가’로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랭사인(Auld Lang Syne)’에 맞춰 부른 것입니다. 처음 공개한 ‘애국가’ 2종은 현행 ‘애국가’가 ‘국가적인 노래’로 불려진 역사적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희귀자료입니다. 그동안 광복 이전 우리의 ‘애국가’는 문헌상으로만 널리 알려져 있었을 뿐 실제 노래로 녹음되어 알려진 적은 없었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된 ‘애국가 음반’은 미주한인 동포들이 실제 부른 노래를 담고 있어 현행과 과거의 ‘애국가’ 실체를 비교·검토하는데 좋은 증거가 됩니다. 그리고 이번 ‘애국가 음반’에 실려 있는 ‘무궁화가’는 그동안 알려진 또 다른 ‘애국가’의 노래인데, 향후 우리 ‘애국가’의 변천사를 밝히는데 매우 소중한 자료로 평가됩니다. 처음으로 공개되는 ‘애국가 음반’은 재미한족연합위원회가 1942년 8월 29일 그동안의 국치일 행사를 폐지하고 로스앤젤레스(LA) 시청에 태극기 현기식을 거행하는 역사적인 날에 처음으로 제작, 공개한 것으로 역사적 의의가 매우 높습니다. 희귀자료의 공개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27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26 국외소재 독립운동사적지에 대한 조사와 관리를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 해는 중국지역의 해외사적지를 관리하는 중국 현지 관계자와의 원활한 업무협의로 김구피난처 전시물 설치와 전시 자료 제공, 그리고 화북지역 독립운동사적지에 대한 심화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특히 중국 서안 지역은 한국독립운동 사적지 뿐만 아니라 고대시기 한국사 관련 사적지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학술교류 협약을 추진하여 한국인들에게 한국사의 자긍심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 마련하였습니다. 주요 추진 성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외사적지 실태조사 및 심화조사 • 중국 화북지역 국외독립운동사적지 조사(6. 17~30) • 러시아 연해주지역 사적지 조사(9. 19~28) 2) 국외사적지 현지 관리기관 운영 • 중국 용정 명동학교 전시물 보완 지원 • 국외 독립운동사적지 관리기관 조사비지원 3) 국외 복원 사적지 안내원(7명) 방한 초청 교육(5∼10월) • 한국어 능력시험 대비 한국어 교육 실시 • 제주도, 춘천, 고성, 경주 등지의 문화유적지 답사 4) 국외 복원사적지 전시보완 및 보수지원 • 중국 가흥시문물보호소(김구피난처), 진강시 대한민국임시정부사료진열관, 대한민국임시정부 항주구지기념관, 하얼빈 안중근기념관, 여순일아감옥 및 관동 법원 전시관 등에 대한 전시사업 지원 국외사적지 조사사업 국내 소재 독립운동과 국가수호사적지에 대한 조사와 보존, 활용을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표지물 설치와 함께 나라사랑 역사의 길과 근·현대 사적지를 활용한 역사교육 교재를 개발해 독립운동 및 국가수호사적지를 학교의 교육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계기 마련하였습니다. 주요 성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지물 설치 • 서울, 전주, 장수, 홍성, 청양, 음성, 충주, 제천 등 1차 현지조사 • 청원, 괴산, 경북 상주, 강원 춘천, 횡성, 부산, 경남 사천, 대전, 공주, 담양, 함평 등 2차 현지조사 • 3·1운동 단일화 합의장소, 대전시가전지, 김태원생가, 궁삼면 농민운동지, 충효재-정환직·정용기 집터에 표지물 설치 2) 사적지를 활용한 역사교육 자료 개발 • 현직 중등교사 4명을 중심으로 각 10과제(독립운동 30, 국가수호10) 개발 3) 나라사랑 역사의 길 개발 추진 • 밀양, 광주 지역 1차 현지조사 • 양구, 고성, 춘천, 화천, 천안, 부산, 대구 지역 2차 현지조사 4) 서울 사적지 및 현충시설 QR코드부착 · 컨텐츠 제작 • QR코드 부착을 위한 서울 현지조사 • QR코드 부착 대상 사적지 선정(22개) 및 제작 국내사적지 조사사업 일본의 독도 영유 허구성을 밝히는 역사적인 자료 공개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료는 교과서 5권과 지도 2권입니다. 먼저 교과서는 1) 일본 문부성이 직접 만든 「소학지리용신지도(小學地理用新地圖)」 (1905년), 2) 문부성 검정 「일본사요(日本史要) 卷上」 (1886년), 3) 문부성 검정 「소학지리(小學地理) 1·2券」 (1900년), 4) 오카무라 마쓰타로 편찬 「신찬지지(新撰地誌) 1券」 (1887년), 5) 오오츠키 슈지 저 「일본지지요략(日本地誌要略) 1·4券」 (1878년)입니다. 지도는 1) 아오키 쓰네사부로 저 「분방상밀 일본지도(分邦詳密日本地圖)」(1888) , 2) 동경 개성관 제작 「표준일본지도(標準日本地圖)」(1925)입니다. 그동안 일본에서 만든 지도에 독도가 한국(조선) 영토임을 증명하는 자료는 많았습니다. 그런데 정부기구(특히 교육을 주관하는 정부 부처인 문부성)에서 제작 및 검증한 자료에서 독도가 일본과 무관한 영토임을 확인하고, 일본 교과서에서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최초의 자료로 평가됩니다. 희귀자료의 공개 자료관리 독립기념관 자료실은 9만여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독립운동사 관련 최대규모 자료소장처 입니다. 소장자료의 항구적 보존과 효율적 관리를 위해 소장자료 복제(이회영 의복 등 8건 36점), 보존처리(한국광복군 서명문 태극기 등 7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신규자료 등록 (1,242점)과 소장자료의 문화재 등록(이원순 런던올림픽 단복 등 17점)에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장자료를 주제별로 구분하여 2011년에 이어 두 번째로 독립기념관 소장자료 사진집Ⅱ 「엽서로 보는 일제의 식민통치와 한국인의 삶」을 발간하였습니다. 자료 이용 편리성 강화 자료관리 및 이용 • 손쉬운 자료 접근으로 독립운동사 자료의 활용도 제고 •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훼손 방지 및 영구적인 자료보존체계 확립 소장자료, 사진자료 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시스템 개발 소장자료 DB 구축 및 서비스 한국독립운동사 정보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 구축 건수 : 텍스트, 이미지 등 153,200건 연 구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29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28 고객맞춤형 해설개발을 통한 해설서비스 특성화 2012년도에는 이용객의 연령층과 직업군에 맞춘 고객맞춤형 해설을 개발하여 실시하였습니다. 군경 맞춤형 해설서비스는 군경과 관련있는 임진왜란, 의병, 무기등 군경과 역사적 의의 위주의 해설을 통해 해설의 집중도와 교육적인 측면을 강화하였습니다.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의 아이들의 저학년 해설은 흥미 위주의 해설서비스를 통해 자칫 딱딱하기 쉬운 우리역사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해설서비스와 더불어 태극기 바람개비, 서명 태극기와 같은 교구재를 활용한 체험형 해설서비스를 통해 아이들의 우리역사에 대한 관심유발과 함께 같이 참여 하시는 학부모님들의 큰 관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그 결과, 고객맞춤형 해설서비스 프로그램 신설 및 운영은 해설서비스에 대한 큰 수요를 가져왔고, 2012년 한 해 신규 해설서비스 이용객의 수가 약 13,000명을 기록하는 큰 호응을 이끌어 냈습니다. 해설서비스 서비스 품질향상과 관람환경개선을 통해 국민에게 사랑받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변화를 추진 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자연과 인공이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 창출 및 고객서비스 강화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아갈 것입니다. 사업명 사업대상 사업목적 / 총인원수 운영기간 차별적 서비스 개선 고객지원 시설확충 종합서비스센터 • 멀티지원 고객서비스 지원 1 ~ 11월 인솔자 쉼터 • 인솔자 상담 및 휴게공간 10월 독립군체험학교 부속시설 • 교육사업 지원 6 ~ 11월 장애인편의시설 • 사회적 약자 관람환경 개선 2 ~ 5월 해설서비스 특성화 특화된 해설 서비스 지원 맞춤형 군경 해설서비스 • 특수계층 해설서비스 강화 1 ~ 12월 저학년 체험 해설서비스 • 해설계층 확대 1 ~ 12월 자원봉사자 운영 자원봉사자 운영 자원봉사자 도슨트 • 자원봉사 기회확대 및 노인 일자리 창출 3 ~ 12월 다목적 장소이용 솔숲쉼터 전 국민 7,904(명) 3 ~ 11월 독립기념관 야영장 44,976(명) 3 ~ 11월 강당 (밝은누리 · 관리동) 7,649(명) 연중 기타장소 18,852(명) 연중 사업소개 사업실적 SERVICE서비스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31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30 서 비 스 인솔자 쉼터 신설 인솔자 쉼터는 단체인솔자에 대한 쉼터 부족과 관람에 대한 상담을 위해 겨레의 집에 조성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넓은 공간에 비해 부족했던 쉼터 공간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종합서비스 센터 신축 고객실내편의시설 공간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종합서비스센터를 신축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관람동선이 긴 기념관의 단점보완 및 원스톱 고객서비스를 제공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독립군 체험학교 부속시설 신축 증가하는 우리관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시설부족에 의한 체험교육의 한계를 해소하기위해 독립군 체험학교 부속시설을 신축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체험교육에 대한 보다 나은 양질의 교육기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점자블럭 설치 더불어 사는 사회와 누구나 이용이 편리한 기념관을 만들기 위해서 기념관 관람동선과 전시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블럭을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기념관 방문의 턱을 낮추어 한발 더 국민의 품으로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고객지원시설 오프라인 홍보 독립기념관의 많은 사업과 행사를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홍보활동은 주요행사, 기관동향, 독립운동사와 관련 정보 등을 담은 “독립기념관지”를 6,000부 제작하여 전국의 주요 공공기관 및 학교, 도서관 등에 무료로 배포하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매년 약 80여건의 보도자료를 배포하여 방송 · 신문 등의 언론을 통해 약 1,200회에 걸쳐 독립기념관의 다양한 활동을 알리고 있습니다. 온라인 홍보 입장객 증대 및 역사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홈페이지, SNS, 모바일웹 등을 통해 적극적인 온라인 홍보를 진행하여 행사개최 소식, 역사 컨텐츠 등 다양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립기념관 홍보영상을 제작하는 UCC공모전을 개최하여 젊은 층의 호응과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홍보활동 3·1절 만세 운동 정신 계승 재현행사 독립기념관은 3.1절이 되면 다양한 기념행사를 진행합니다. 만세운동 재현행사는 3.1운동이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 운동에 머무르지 않고 반침략 자주독립 정신을 일깨운 세계평화 운동이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만세운동의 전 과정을 참여한 관람객들과 함께 진행하여 그날의 역사를 다시 느껴보는 좋은 행사입니다. 8·15 광복절 경축행사 독립기념관은 8월이 되면 독립기념관의 최대 잔치라 할 수 있는 광복절 경축행사가 진행됩니다. 광복절 경축식, 특별기획전시, 각종 공연 및 체험으로 이루어진 경축 문화 행사로 알차게 채워집니다. 문화행사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33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32 지속가능 경영성과 겨레의 정신은 새로운 희망의 빛으로 오늘의 세상을 밝게 합니다. 민족 자존과 번영의 가치를 오늘날 새롭게 되살리기 위해 더불어 함께 가는 세상의 아름다운 가치에 동행하기 위해 독립기념관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희망의 빛이 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은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자연친화적 시설, 생태복원 등 환경사업과 나눔과 기부, 봉사활동 실천 등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으며, 노사가 더불어 성장하는 인재경영, 투명한 윤리경영으로 함께 사는 세상의 따뜻한 빛이 되고 있습니다. 희망의 빛으로 밝히다 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 - 두 아들 모순과 담에게 너희도 만일 피가 있고 뼈가 있다면 반드시 조선을 위해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한잔 술을 부어 놓으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음을 슬퍼하지 말아라 사랑하는 어머니가 있으니 어머니의 교양으로 성공자를 동서양 역사상 보건대 동양으로 문학가 맹자가 있고 서양으로 불란서 혁명가 나폴레옹이 있고 미국의 발명가 에디슨이 있다. 바라건대 너희 어머니는 그의 어머니가 되고 너희들은 그 사람이 되어라. 윤 봉 길 환경분야 나눔분야 인재관리분야 윤리경영분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35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34 독립기념관은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는 자연친화적인 공간 구성을 위한 건물신축과 생태복원으로 훼손된 기존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에너지절약으로 저탄소녹색성장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 에너지 목표관리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의거 2012년도 온실가스ㆍ에너지 목표관리 실시로 용도별, 차종별, 건물별 배출활동에 의거 온실가스배출량을 산정하여 에너지 절약 목표를 달성하였습니다. 2012년도 이행실적 온실가스 감축달성 (tCO2eg) 기준배출량 A 감축목표율 B=(A/C)×10 감축목표량 C 배출량 D 감축량 E=(A-D) 감축률 F=(C/E)×100 3,386.17 4.14(%) 140.30 2,537.02 849.15 605.24(%) 저탄소 녹색성장 실현 자연친화적인 건축물 신축 교육기반시설확충 독립군체험학습장 부속시설인 평화의집(86.31m2)과 통일의집 (76.45m2) 2동을 자연친화적인 건물축로 밀레니엄숲에 신축하 여 입교하는 청소년들에게 자연속에 숙박하면서 심신을 단련할 수 있게 하였다. 관람동선상에 조성된 녹지공간을 계절 특성에 맞게 다양한 꽃 장 식과 겨레의 큰마당 주변 태극열차 회차로 및 무빙워크 주변을 수 목과 잔디식재로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조성하였다. 생태복원 백련못 환경개선 개관 당시 백련못(26,400m2)에 자라던 수생식물인 “백련”이 바닥준설, 바닥토 치환 및 수질개선 으로 백련이 살 수 있는 환경 조성 후 백련 156본을 식재하여 백련못의 명성을 되찾고자 생태복원에 노력하고 있다. 에너지 절약 노력 독립기념관은 정부시책 이행을 위한 공공기관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추진으로 2008년부터 일반 전등을 고효율 LED램프로 교체하기 시작하여 2012년 현재 87%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건물 신축 및 노후시설물 교체 시 설계부터 친환경적이고 에너지절약형 자재를 반영할 예정 입니다. LED램프 구입설치 현황 년도 2008년도 2011년도 2012년도 합계 LED램프(개) 2,648 958 420 4,026 에너지 절약 ENVIRONMENT환경분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37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36 독립기념관은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기부활동 및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하고 사랑과 나눔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관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기부활동 모금활동을 통한 금전적 기부 독립기념관은 자투리성금 모금을 통해 임·직원의 급여중 1,000원 미만 금액을 모아서 생존애국지사 및 위안부할머니에 대한 지속적인 기부활동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문 입구 및 제3전시관 출구에 모금함을 비치하여 방문하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사랑의 동전 모으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성금모금을 통한 기부활동에 동참하여 나눔의 정신을 실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사업을 통한 재능기부 독립기념관에서는 환희애육원, 신아원 및 삼일육아원 소속의 결손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군체험학교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에게 독립운동사 학습을 통한 나라사랑 정신 함양과 개인의 역사의식 및 자존감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습니다. 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지역사회 소통을 위한 봉사활동 환경정화활동 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의 일환으로 물의 날 기념 국토대청결운동을 실시하였습니다. 임·직원이 독립기념관 주변 하천인 산방천에서 오물수거 및 적치물 제거 작업을 하였으며 인근 지역의 쾌적한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농촌일손돕기 봉사활동 농촌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근 농촌지역의 가을철 농작물 수확을 위한 일손 돕기에 자발적 참여를 하여 지역 주민과의 유대관계 및 공동체의식을 제고시키는 협력 및 나눔의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사랑의 헌혈 연말에 혈액부족사태가 발생하고 있어서 「사랑의 헌혈」 행사를 통하여 어려운 이웃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대한적십자사 대전 · 충남혈액원의 헌혈차량 방문을 요청하였으며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헌혈 운동을 전개하여 나눔의 정신을 실현하였습니다. LOVE-SHARING나눔분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39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38 고용안정 일과 삶을 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독립기념관은 일과 가정의 양립문화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여성의 안정적인 생활을 위하여 장기 육아휴직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육아데이 운영, 단시간 근로제 등 유연근무제 도입 등으로 여성이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는 직장 분위기 조성을 위해 전 직원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회형평적 인력고용 독립기념관은 우수 인재의 채용, 전문인력 육성, 안정된 고용환경, 사회적 약자의 보호와 함께하는 노사 관계 정립을 통해 임직원 모두가 상호 존중하며 근무하는 신바람 나는 직장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인재육성 우수인재 채용 독립기념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전문성과 공적 사명감을 갖춘 인재를 채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채용 과정에서 학력, 성별, 연령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였으며, 모든 지원자들 에게 공정하고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2년 총 채용인원 7명 중 4명을 전문인력(학예1, 연구2, 관리1)으로 채용하였습니다. 전문인력 육성 독립기념관에서는 직무전문성과 공적 사명감 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교육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1인당 교육시간 35.4시간(전년대비 32% 증가), 1인당 교육지원비 650천원(전년대비 26% 증가)이었으며, 총 103개 과정에 406명의 직원이 교육에 참여하여 전직원이 100% 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 특히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박물관 전문인력 양성 교육(21명), 회계 교육(28명), 관리자 리더십 교육(11명)은 우리관에서 외부 전문기관과 협력을 통하여 중점적 ·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문교육분야입니다. 고용안정 안정적인 고용과 복지 증진 노력 독립기념관은 안정적인 고용, 지역 이동 없는 직장 환경 등을 통해 구성원 모두 가족과 같은 직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2012년 개관 25주년 맞이하는 독립기념관은 평균 근속 연수 15년, 5급 이상 직원(52명)의 평균 근속연수 19년으로 모범적인 고용안정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립기념관은 성별, 직종, 직군 등에 따라 직원의 임금 및 복리후생을 차별하지 않으며 모두 에게 동일한 혜택의 보장으로 직원의 복지 증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비율 확대 독립기념관에서는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고용을 위해 ‘장애인고용공단’과의 원활한 협조를 통해 2012년 정규직 및 비정규직 각 1명씩의 장애인 직원을 채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장애인 고용은 3.6%로 법정 의무고용 비율(3%)를 초과하여 고용하게 되었고, 이는 2010년도의 2.6%보다 약 1%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취업보호대상자, 여성, 이공계, 지역인재 등 사회형평적 인력고용을 통해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2012년 운영내용 2012년 채용실적 장애인 3.7% (4명/108명) 2명 취업보호대상자 7.4% (8명/108명) - 여성 29.6% (24명/81명) 1명 이공계 34.6% (18명/81명) 1명 지역인재 46.9% (38명/81명) 2명 함께가는 노사 9년 연속 무분규 독립기념관 노조는 조합원 54명(가입율 78%)의 기업별 단위노조입니다. 법과 원칙의 준수, 사전 예방적 노사관계, 상호 협력적 공동의식이라는 방침아래 노·사는 상호 합리적 상생을 위한 동반자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사는 독립기념관이 속한 지역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단체헌혈, 독립 유공자 돕기 모금, 인근 농촌 일손 돕기 등 사회공헌 활동을 노사공동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이의 결과로 2012년 현재 9년 연속 분규 발생이 전혀 없는 가족과 같은 노사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HR MANAGEMENT인재관리분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41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40 독립기념관은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국민정신교육도장으로서 역할을 다하고자 “Clean 독립 기념관” 구현을 윤리경영 목표로 세우고 정직성과 투명성을 바탕으로 공정하며 합리적인 업무수행 으로 부패를 척결하고 청렴한 공직자로서의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윤리경영 추진전략 투명성 확보 독립기념관은 국민정신교육도장으로서 투명성을 확보하고 시스템으로 내재화된 실행력을 강화하여 신뢰받는 지속 가능한 기관이 되고자 윤리시스템 강화, 윤리실행력 강화, 평가 및 환류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청렴윤리교육 강화 먼저 윤리시스템을 강화하고자 기관장이 직접 참여하는 활동을 통한 기반 조성, 환경변화를 반영한 행동강령 등 윤리규범의 적기 개정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업무 기준 강화, 윤리운영체계를 정비 하고 윤리실천을 주도하는 윤리조직 체계 강화, 신고창구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신고시스템 전산화, 청렴교육 의무제도 도입 및 입사시 부터 반부패 · 청렴교육 체계를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경영진과 함께하는 다양한 윤리문화 활동과 업무의 투명성 및 공정성 확보를 위한 청렴도제고 실천 활동을 전개하여 윤리실행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체 점검 활동 강화 마지막으로 자체 점검활동을 강화하고 상시 모니터링체제와 환류활동으로 윤리경영체계를 개선 하고 평가기준 측정모형을 개발하여 자율추진 활동을 평가하고 우수부서를 포상 격려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방향을 바탕으로 윤리경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지속가능 경영기반을 실현하여 글로벌 수준의 윤리경영을 실현함으로써 미션 및 비전과 연계된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겠습니다. 윤리경영 실천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 독립기념관은 2002년 윤리경영을 선포하고 2003년 6월‘임직원행동강령’을 제정하여 윤리적 행동기준으로 삼고 2007년 12월 ‘독립기념관윤리헌장’제정을 계기로 윤리 · 투명경영의 정착을 위해 청렴실천 결의대회, 노사공동청렴선언문 채택, 클린신고센터 운영, 클린카드 사용 의무화, 반부패 · 청렴교육 실시, 청렴캠페인운동 전개, 클린식권제도 운영, 청렴방송, 클린독립상 시상 등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여 실천하고 있습니다. 청렴 모니터링 또한 체계적인 윤리경영 실천을 위해 윤리운영체계를 정비하고 윤리실천을 주도하는 윤리조직을 만들어 청렴모니터링 및 환류 활동을 통한 문제점 진단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이를 매년 윤리 경영계획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독립기념관 임·직원은 윤리적 사고와 행동의 체질화로 모든 경영활동에 윤리투명경영을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ETHICAL MANAGEMENT윤리경영분야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43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42 나의 소원 내가 원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은 결코 세계를 무력으로 정복하거나 경제력으로 지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 잘 살고 인류 전체가 의좋게 즐겁게 살도록 하는 일을 하자는 것이다. 어느 민족도 일찍이 그러한 일을 한 이가 없었으니 그것은 공상이라고 하지 마라. 일찍이 아무도 한 자가 없기에 우리가 하자는 것이다. 이 큰일은 하늘이 우리를 위하여 남겨놓으신 것임을 깨달을 때에 우리 민족은 비로소 제 길을 찾고 제 일을 알아본 것이다. 김 구 재무성과 견실하게 지나온 길들이 모여 탄탄한 내일의 길을 엽니다. 임·직원 모두의 땀과 노력이 모여 올곧은 한 길을 내었음을 알기에 굳게 다져진 오늘의 성과가 민족의 자긍심을 담아내는 지표임을 알기에 독립기념관은 더욱 희망찬 내일의 길을 내기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습니다. 독립기념관은 투명경영과 인재경영, 하나된 임·직원들의 끊임없는 자기 혁신을 통해 설립 이후 오늘날까지 내적 · 외적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걸어가는 이 길이 우리 민족이 걸어갈 희망의 길임을 알기에 오늘도 힘차게 새로운 길을 열고 있습니다. 내일의 길을 열다
Th e In de pe nd en ce H al l o f K or ea 045 20 12 A N N U A L R EP O R T 044 재무상태표 과목 2012 2011 유동자산 12,123 10,538 당좌자산 12,070 10,533 현금과 예금 4,408 3,377 단기금융상품 7,401 6,949 미수수익 221 105 기타 40 102 재고자산 53 5 비유동자산 40,304 41,415 투자자산 313 340 매도가능증권 150 150 투자부동산 163 190 기타 0 0 유형자산 39,961 41,011 토지 8,486 8,487 건물 22,479 23,340 기타 8,996 9,184 무형자산 23 57 기타 비유동자산 7 7 자산총계 52,427 51,953 유동부채 3,002 1,844 단기차입금 0 0 미지급금 2,697 1,577 미지급비용 55 43 선수수익 24 11 기타 유동부채 226 213 비유동부채 1,814 1,747 퇴직급여충당금 1,806 1,735 장기차입금 0 0 기타 8 12 부채총계 4,816 3,591 기본자산 95,541 95,541 기타 포괄손익누계액 0 0 결손금 -47,930 -47,179 자본총계 47,611 48,362 부채 및 자본총계 52,427 51,953 과목 2012 2011 사업수익 16,864 17,549 정부보조금수익 13,349 14,074 임대수익 1,239 1,204 주차수익 274 286 부대사업수익 33 32 기타사업수익 1,969 1,953 사업비용 18,018 18,298 사업직접원가 9,248 9,889 지원사업원가 1,678 2,501 학술·연구지원원가 620 797 부대사업원가 1,794 1,719 기타사업원가 5,156 4,872 인건비 5,042 3,953 경비 3,728 4,456 사업이익 -1,154 -749 사업외 수익 574 474 이자수익 295 257 투자자산처분이익 64 0 잡이익 등 215 217 사업외 비용 171 0 유형자산처분손실 171 0 잡손실 등 0 0 법인세 차감전 수익 -751 -275 법인세 비용 0 0 당기순이익 -751 -275 손익계산서 자산총계 비교 52,427 51,953 2012 2011 부채총계 비교 4,816 3,591 2012 2011 사업수익 비교 16,864 17,549 2012 2011 사업비용 비교 18,018 18,298 2012 2011 당기순이익 비교 -751 -275 2012 2011 (단위 : 백만원) (단위 : 백만원) 자본총계 비교 47,611 48,362 2012 2011 2012 자산총계 52,427 백만원 2012 부채총계 4,816 백만원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독립기념관 2012 연차보고서 발간 발행인 | 김능진 총괄 | 이종국 기획 및 진행 | 이동일 (기획조정실) 집필 및 검토 | 이우영, 이성배, 정현희, 김승만, 홍용표, 왕대현, 홍선표 디자인 | (주)필코in 02 2269 2466 보고서에 대한 의견은 우편, 이메일, 홈페이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접수하고 있습니다. 추가정보가 필요하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30-843 충남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 독립기념관 기획조정실 Tel. 041 560 0227 Fax. 041 557 8162 Homepage. http://www.i815.or.kr E-mail. dodo1942@i815.or.kr 변화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를 지켜가겠습니다 겨레의 자랑스러운 정신과 올바른 민족의 정체성이 살아 숨쉬는 곳 독립기념관이 여러분과 함께 새로운 역사의 한 걸음을 시작하겠습니다. 외부감사보고서 독립기념관 이사회 귀중 2013년 2월 8일 본 감사인은 첨부된 독립기념관의 2012년 12월 31일과 2011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표와 동일로 종료되는 양 회계 년도의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및 현금흐름표를 감사하였습니다. 이 재무제표를 작성할 책임은 독립기념관 경영자에게 있으며 본 감사인의 책임은 동 재무제표에 대하여 감사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이 재무제표에 대하여 의견을 표명하는데 있습니다. 본 감사인은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감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기준은 본 감사인이 재무제표가 중요하게 왜곡표시되지 아 니하였다는 것을 합리적으로 확신하도록 감사를 계획하고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재무제표상의 금액과 공시내용을 뒷받침하는 감사증거에 대하여 시사의 방법을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는 재무 제표의 전반적인 표시내용에 대한 평가 뿐만 아니라 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경영자가 적용한 회계원칙과 유의적 회계추정 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본 감사인이 실시한 감사가 감사의견 표명을 위한 합리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고 본 감사인은 믿습니다. 본 감사인의 의견으로는 상기 재무제표는 독립기념관의 2012년과 2011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와 동일로 종료되는 양 회계년도의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의 내용을 독립기념관법, 정관, 회계규정 및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 에서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습니다. 신한회계법인 대표이사 이 상 문 이 감사보고서는 감사보고서일 현재로 유효한 것입니다. 따라서 감사 보고서일 이후 이 보고서를 열람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사이에 첨부된 독립기념관의 재무제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나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 감사보고서가 수 정될 수도 있습니다.
www.i815.or.kr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삼방로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