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 온라인 연수 콘텐츠 【천재교육 운영】독립운동 현장읽기(구국계몽운동) ¨ 내용: 구국계몽운동 주제 역사 연수 강의 ¨ 강사 - 한철호(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김형목(국채보상운동 기념사업회 이사) ¨ 목차 연수 목차 1차시 순국과 계몽운동 2차시 중앙 핵심관리의 순국 3차시 지방 관리의 순국 4차시 한말 지식인의 선택, 재야인사의 순국 5차시 민중,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다 ‘독립협회’ 6차시 교회를 중심으로 한 구국계몽운동 7차시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적 배경 8차시 항일언론의 선봉 ‘대한매일신보’ 9차시 구국계몽운동에 앞장 선 신문 ‘황성신문’ 10차시 망국 지식인들의 아고라 ‘출판문화’ 11차시 혁신유림의 산실 ‘협동학교’ 12차시 기호, 서북지역 근대교육의 요람 13차시 근대교육의 실천(사립학교) 14차시 근대교육의 시작(공립학교) 15차시 의열단의 요람 ¨ 연수사진

독립기념관 온라인 연수 콘텐츠 【천재교육 운영】독립운동 현장읽기(의병전쟁) ¨ 내용: 의병전쟁 주제 역사 연수 강의 ¨ 강사 - 김상기(충남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 홍영기(순천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 심철기(근현대사기념관 학예실장) ¨ 목차 연수 목차 1차시 제천의병의 창의지 ‘자양영당’ 2차시 을미의병의 효시지 ‘유성장터’ 3차시 이천의병 전투지 ‘남한산성’ 4차시 홍주의병장 김복한과 ‘추양사’ 5차시 홍주의병의 격전지 ‘홍주성‘ 6차시 태인의병의 창의지 ‘무성서원’ 7차시 양회일 의병장과 ‘쌍산의소’ 8차시 의병운동에서 의병전쟁으로 9차시 대한제국 군대, 의병이 되다 10차시 13도 의병이 연합하다 11차시 150 의병의 산화지 ‘소난지도’ 12차시 의병에서 독립군으로 13차시 호남 최초의 의진 장성ž나주의병 14차시 기삼연 의병장과 호남창의회맹소 15차시 나이와 신분을 초월한 의병전쟁 ¨ 연수사진

독립기념관 온라인 연수 콘텐츠 【중앙교육연수원 운영】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내용: 한국독립운동사 총론 ¨ 강사 - 김용달(前 한국근현대사학회장) - 한철호(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 김형목(국채보상운동 기념사업회 이사) - 조범래(독립기념관 학예연구관) ¨ 목차 ¨ 연수사진 연수 목차 1차시 한국독립운동의 의미 2차시 일제 침략과 국권침탈 3차시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Ⅰ 4차시 일제의 식민지 지배 정책 Ⅱ 5차시 국권회복운동의 전개 Ⅰ 6차시 국권회복운동의 전개 Ⅱ 7차시 해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8차시 3ž1운동 Ⅰ 9차시 3ž1운동 Ⅱ 10차시 국내 독립운동 Ⅰ 11차시 국내 독립운동 Ⅱ 12차시 국외 독립운동 Ⅰ 중국 ① 13차시 국외 독립운동 Ⅰ 중국 ② 14차시 국외 독립운동 Ⅱ 러시아 15차시 국외 독립운동 Ⅲ 미주지역 16차시 국외 독립운동 Ⅰ 일본 ① 17차시 국외 독립운동 Ⅱ 일본 ② 연수 목차 18차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Ⅰ 19차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Ⅱ 20차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Ⅲ 21차시 식민지근대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