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나라, 나아가자! 자유는 우리의 것 봉오동·청산리 전투 100주년 한국광복군 창설 80주년 기념 주말 주제별 해설 한국광복군 서명문태극기 이 태극기는 한국광복군 서명문태극기로 한국광복군 문웅명이 가지고 있던 태극기입니다. 1946년 1월 문웅명이 다른 부대로 옮기게 되자 이를 아쉬워 한 동료들이 태극기 여백에 가득 서명해 주었습니다. 서명의 내용은 광복의 기쁨과 바람직한 국가상, 완전한 독립국가에 대한 염원 등이 그 내용 입니다. 글귀마다 광복군의 나라사랑과 자유에 대한 굳건한 열망이 담겨져 있습니다. ※ 월요일은 휴관일입니다. ※ 해설 문의 : 041-560-0356 본 책자에 실린 내용은 독립기념관의 동의 없이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copyrightⓒ2020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함께 지켜주세요 1. 해설이 시작되면 옆 사람과의 대화는 잠시 멈춰주세요. 2. 물과 간식 등은 전시관 안에서 먹을 수 없습니다. 3. 초등학생을 동반한 가족의 경우 보호자가 반드시 해설 종료 까지 함께 해주세요. 4. 해설 진행 중 사전에 협의되지 않은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을 할 수 없습니다. 5. 해설 참여는 인터넷 예약이 우선이며, 현장에서 인원이 추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꿈꾸는 대한민국의 모습을 아래에 적어보세요. 대한제국 군인, 의병, 독립군 한국광복군의 활동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항복 그리고 되찾은 우리의 자유 한국광복군 ※KIA는 한국광복군의 영문명 Korea Independence Army의 약자입니다.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배지 대일선전성명서 OSS훈련에 참여한 한국광복군 제 2지대원 들의 사열 한국광복군 제 2지대 간부들과 미국전략 사무국(OSS)교관들 •대원 모집 대상 1. 중국에서 활동중인 독립군 2. 중국에서 살고있는 한인 3. 일본군에 징병되어 중국에 배치된 한인청년 •교육 및 훈련 •대일선전포고(1941년 12월 10일) 한국광복군 군사훈련 한국광복군 제식 집총훈련사진 한국광복군 제2지대 대원들(KIA) ▼ 한국광복군 배지 무장적 행동으로서 적의 침략세력을 박멸하려는 한국남녀는 그 주의사상의 여하를 막론하고 한국 광복군의 군인 될 의무와 권리가 있다. - 『한국광복군 공약』 1조 독수리 작전(Eagle project) 1945년 한국광복군은 중국에 있는 미국OSS와 한미 공동작전을 추진하였습니다. 같은 해 4월 김구 주석과 OSS의 싸전트(Sargent) 대위는 정식으로 이와 관련된 협정을 맺었고, 그후 한국광복군 대원들은 3개월간 국내침투를 위한 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왜구를 완전히 몰아내기 위해 혈전으로 최후의 승리를 이루겠다! 1941년 12월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 했을 때 임시 정부는 즉각 대일선전포고를 발표하고, 이를 각 국에 발송하였습니다. 이는 연합국의 일원으로 대일전쟁에 참전할 것을 밝힌 것이었습니다. 독립기념관 해설 예약

독립전쟁 연표 의병전쟁 간도참변(1920~1921) 중일전쟁 발발(1937)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1941년 12월 10일) 대한민국임시정부 독립전쟁 선포(1920년 1월) “아아, 동포여 고개를 숙이어 조국의 강산과 동포를 생각 할 지어다. 여러분은 피눈물이 흐르고 가슴이 찢어지리라. 동포여 일어날지어다. 이때가 그 때니라.” -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포고』 1호의 내용 중 일부 나라를 빼앗긴 후 얻은 통쾌한 승리 봉오동 전투(1920년 6월) 청산리 전투(1920년 10월) 민주공화제 정부가 수립되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1919년 4월 11일) 일제의 야망이 대규모 전쟁이 되다 아시아·태평양전쟁 발발(1941년 12월 7일) 이 보고서는 당시 일본군 제 19사단의 추 격대 대장이었던 야스카와(安川)소좌가 당시의 전투 상황을 기록한 『봉오동전투 상보』입니다. ① 『봉오동전투 상보』(일본군 측 자료) ■독립군의 노래 1. 독립군에게 노래는 ‘위로와 희망’ 노래는 독립군의 사기를 높이고 우애를 강하게 만드는 도구였습니다. 아래쪽에 소개되어 있는 ‘독립군가’는 독립군은 물론 한국광복군까지 널리 불린 노래입니다. 적이 강하다고 겁내지 말고 나가서 용감하게 싸우자고 노래하고 있습니다. 2. 독립군에게 노래는 ‘암호’ 독립군과 동포들은 노래를 통해 정보를 주고 받았습니다. 아리랑의 가사에 일본군의 숫자를 넣어서 부르는 방법 등으로 독립군에게 은밀히 정보를 전달했습니다. ex)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오, 아리랑 다섯 고개를 넘어간다. 홍범도(대한독립군) 김좌진(북로군정서)안무(국민회군) 이범석(북로군정서) 지청천(서로군정서) 나라를 잃다 경술국치(1910년 8월 29일) 한일강제‘병합’조약 조인광경 만주침략(1931) 만주의 일본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군을 창설하다 한국광복군 창설(1940년 9월 17일) 한국광복군 창설 기념사진 빼앗긴 나라를 되찾다 광복(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하여 출옥한 애국인사 전 국민이 독립을 외치다 3·1운동(1919) 3·1만세도 대한제국군대 강제 해산(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 신흥무관학교 설립(1911)               봉오동에서 원수를 대파 원수는 사상자가 120명 이로써 보건데 원수의 보도가 신용이 없는 줄을 알겠더라. 홍범도: 봉오동전투 이후에도 전투 활동을 계속 이어갔고, 같은 해 10월 에 있었던 청산리 전투에서도 연합 독립군과 함께 승리를 이끕니다. ② 『신한민보』(1920년 7월 20일자 보도) - ‘독립군승첩’(독립군 측 자료) 봉오동 전투 1920년 6월 중국 지린성 봉오동에서 독립군과 일본정규군의 첫 번째 대규모 충돌이 있었고, 독립군이 승리했습니다. 청산리 전투 1920년 10월 독립군 연합부대가 중국 지린성 청산리 일대에서 일본정규 군과 싸워 크게 이긴 전투입니다. 당시 곳곳에서 크고 작은 전투가 여러 차례 펼쳐졌으며 이 전투들을 ‘청산리 전투’라고 합니다. 봉오동 · 청산리 전투 적(독립군)은 지형을 활용하여 방어를 하고, 상당한 전투력을 갖고 있으며 또 용감하게 전투한다. 독립군가 1절 신대한국 독립군의 백만용사야 조국의 부르심을 니가 아느냐 삼천리 삼천만의 우리 동포를 건질 이 너와 나로다 2절 원수들이 강하다고 겁을 낼건가 우리들이 약하다고 낙심할건가 정의의 날센 칼이 비끼는 속에 이길 이 너와 나로다 3절 너 살거든 독립군의 용사가 되고 나 죽으면 독립군의 혼령이 되니 동지야 너와 나의 소원아니냐 빛낼 이 너와 나로다 후렴 나가나가 싸우러나가 나가나가 싸우러나가 독립문의 자유종이 울릴때까지 싸우러 나아가세 대한민국 육군이 부르는 독립군가